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23 KCI Impact Factor : 1.68
-
pISSN : 1738-463X / eISSN : 2734-0112
- https://journal.kci.go.kr/schooljr
pISSN : 1738-463X / eISSN : 2734-0112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Strengths and Personality to Life Satisfaction
Jung, Iljin 1, Chung, Jaehee 1, 김소영 1, 김윤나 1, 김대선 1, Jin Kook Tak 1
1광운대학교
삶의 만족, 삶의 질, 안녕감 등의 개념은 긍정심리학 범위 안에서 서로 유사하고 상호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삶의 만족도란 개인이 자기 삶의 다양한 영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성격특성에 관한 일부 연구로는 Big Five라고 불리는 다섯 가지 기본적인 성격특질
강점은 개인의 행복과 관련이 있으며, 실제 자신의 성격에 대한 강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주었을 때, 일에 대한 성취도와 삶의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에 대한 연구가 있다
한편 강점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강점에 대한 구성개념이 다소 일관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강점이 성격을 포함하는 개념
성격이란 환경에 대한 개인의 독특한 적응을 결정하는 개인 내의 정신신체적 체계들의 역동적 조직이다(Allport, 1937;
긍정심리 분야에서 강점을 강조하면서 강점에 관한 연구가 확산됨에 따라 학자마다 강점의 속성을 이해하려는 노력과 그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 되었는데, 정의와 측정방법에 있어 다소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먼저
둘째,
셋째,
세 가지는 대표적인 강점진단 도구들로서
김기년과 탁진국(2013)은 이러한 강점의 개념을 선행연구를 통해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적합하도록, 강점을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고, 감정 및 행동과 관련된 것으로서 이를 발휘할 때 자연스럽고 편안함을 느끼며 에너지가 넘치고 이로 인해 행복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새롭게 정의하였으며, 이 개념을 토대로 청소년용 강점검사를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성격과 강점 두 구성개념간의 상관은 높지 않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Big Five라고 불리는 다섯 가지 기본적인 성격특질
한편 강점은 개인의 행복과 관련이 있으며, 실제 자신의 성격에 대한 강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주었을 때, 일에 대한 성취도와 삶의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에 대한 연구가 있다
우리나라 아동 및 청소년의 강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성격강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긍정 심리학은 인간의 긍정적인 심리적 측면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인간의 행복과 성장을 지원하는 학문이다. 긍정심리학의 주요한 과제는 인간이 지니는 다양한 긍정적 성품과 강점을 밝히고 계발하는 것이다. 긍정심리학과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강점은 삶의 만족 또는 행복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 성격 특성 또한 많은 연구에서 삶의 만족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의 강점과 성격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고등학생 1,746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지역별 고른 표집을 위하여 서울특별시, 충청도 세종시, 전라도 광주시, 경기도 시흥시 등 4개 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2개교와 고등학교 3개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이 중 무응답 문항수가 10개 이상인 불성실 응답자 29명을 제외한 1,717명의 응답이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전체 1,717명 중 여학생의 비율이 56.0%로 남학생의 44.0% 보다 다소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고등학생 비율은 71.8%로 중학생 28.2% 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중고등학생의 강점을 측정하기 위하여
성격의 Big Five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청소년용 삶의 만족도 검사(KLSSA)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강점과 성격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5개 성격요인과 20개 강점간의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과 강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강점과 성격 및 삶의 만족과의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격 이외에 강점이 추가로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강점과 성격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5개 성격요인과 20개 강점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점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개 강점요인과 삶의 만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격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5개 성격요인과 삶의 만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격과 강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삶의 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성격 5개 요인과 강점 20개 요인을 예언변인으로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방성, 신경증, 친화성, 공정성, 끈기, 낙관성, 대인관계, 배려, 유머, 정직, 지혜 등 11개 요인이 삶의 만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낙관성, 대인관계, 친화성, 공정성, 신경증, 유머, 개방성, 끈기, 지혜, 배려, 정직순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개방성, 신경증, 정직의 경우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삶의 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으로 삶의 만족을 이루는 자기 만족, 학교 만족, 주거환경 만족, 친구 만족, 가족만족별 성격과 강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5개 하위요인을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고, 성격 5개 요인과 강점 20개 요인을 예언변인으로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5개 성격요인에 20개 강점요인을 추가적으로 투입한 결과,
자기 만족의 경우 성실성, 신경증, 친화성, 경쟁, 끈기, 낙관성, 대인관계, 신중함, 용기, 유머, 자기조절, 지혜, 학구열 등 13개 요인이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유머, 낙관성, 지혜, 자기조절, 끈기, 신경증, 대인관계, 신중함, 학구열, 성실성, 용기, 친화성, 경쟁순으로 자기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성실성, 신경증, 신중함, 학구열의 경우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자기 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학교 만족의 경우 신경증, 친화성, 공정성, 낙관성, 대인관계, 리더십, 학구열등 7개 요인이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낙관성, 리더십, 학구열, 공정성, 대인관계, 친화성, 신경증 순으로 학교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신경증의 경우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학교 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주거환경 만족의 경우 개방성, 친화성, 공정성, 낙관성, 대인관계, 정직 등 6개 요인이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낙관성, 대인관계, 친화성, 공정성, 개방성, 정직 순으로 주거환경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개방성과 정직의 경우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주거환경 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친구 만족의 경우 개방성, 신경증, 외향성, 친화성, 공정성, 낙관성, 대인관계, 미래지향성, 배려, 용기, 유머 등 11개 요인이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대인관계, 배려, 낙관성, 외향성, 유머, 개방성, 신경증, 용기, 친화성, 공정성, 미래지향성순으로 친구 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개방성과 신경증의 경우 부적으로 관련되었다. 친구 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가족 만족의 경우 개방성, 신경증, 친화성, 공정성, 끈기, 낙관성, 도덕성, 자기조절, 학구열 등 9개 요인이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낙관성, 친화성, 학구열, 자기조절, 도덕성, 끈기, 공정성, 개방성, 신경증 순으로 가족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개방성과 신경증, 자기조절의 경우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가족 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중ㆍ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성격(Big Five)의 5개 하위요인과 청소년 강점(Strengths)의 20개 하위 요인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청소년 성격과 강점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순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과 강점 간의 상관은 높지 않을 것이라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성격요인과 강점요인은 전체적으로 대부분 유의하게 관련 되었으나 상관의 크기는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지 않았다.
둘째, 성격과 강점 각각은 삶의 만족과 유의하게 관련될 것이라는 가설 2 또한 지지되었다. 강점과 삶의 만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관성, 대인관계, 리더십, 유머등의 강점요인 대부분이 삶의 만족과 비교적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강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성격과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삶의 만족과 성격 요인들 간에 상관의 크기가 아주 높지는 않지만 .30 근처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기 때문에 성격과 삶의 만족도는 유의하게 관련된다는 가설을 입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Big Five 성격특성 가운데 외향성과 신경증적 경향성은 주관적 행복을 일관성 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난
셋째, 강점은 성격이 삶의 만족을 설명하는 것 이상으로 유의한 변량을 설명할 것이라는 가설 3도 지지되었다. 성격요인 이외에 이들 강점요인들이 포함된 회귀모형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만족을 5개 하위 요인으로 구분하여 동일한 분석을 실시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증진을 위해서는 개인의 성격특성 이외에도 반드시 강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삶의 만족과의 상관분석에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부적 상관을 보인 요인들이 있었다. 이는 일부 선행변인들 간에 상관이 높아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해당되는 요인들은 전체 삶의 만족과 주거환경 만족에서 개방성과 정직, 자기 만족에서 성실성, 신중함과 학구열, 친구 만족에서 개방성, 가족 만족에서 개방성과 자기조절이다.
그리고 삶의 만족에 대한 성격 및 강점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 가장 큰 상관을 보였던 외향성이 2단계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상관을 보였는데, 이는 외향성과 상관이 높은 대인관계, 유머, 리더십 등이 2단계에 추가됨으로써 외향성이 설명하는 부분을 설명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전체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성격과 강점요인을 살펴보면 낙관성과 대인관계 강점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세번째는 성격특성에 속하는 친화성이었다. 자기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유머, 낙관성, 지혜, 자기조절, 끈기 등의 순서로 강점요인들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만족의 경우에도 낙관성, 리더십, 학구열, 공정성, 대인관계의 순서고 상위 5개 요인은 모두 강점요인이었다. 주거환경 만족의 경우에는 낙관성, 대인관계, 친화성, 공정성, 개방성의 순서로 가장 중요한 상위 두 요인은 강점요인이었다. 친구만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도 대인관계, 배려, 낙관성, 외향성, 유머의 순서로 대부분 강점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만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낙관성, 친화성, 학구열, 자기조절, 도덕성의 순서로 친화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강점요인에 속하는 특성이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삶의 만족에 설명하는데 있어서 성격요인보다는 강점요인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과 강점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청소년을 대상으로 처음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성격이 강점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강점은 성격적 요인 이외에도 다른 개념을 포함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강점의 구성개념을 정의할 때
둘째,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성격요인보다는 강점요인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낙관성, 대인관계, 유머 등의 강점요인이 삶의 만족과 높게 관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을 높여 행복을 증진시키고자 할 때 개인의 성격을 파악하고 활용하기 보다는 강점 개발의 측면에 더욱 많은 부분을 할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들이 자신의 강점을 파악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강점검사를 사용하거나 강점 활용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자신의 강점과 관련된 행동을 지속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돕는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청소년으로 한정하여 실시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성인에게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검사가 청소년 강점검사이기 때문에 청소년에 한정된 연구가 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대상 인원수가 많고, 남녀의 성별과 중ㆍ고 학생을 골고루 표집했다는 장점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집단을 표집하여 청소년 이상의 생애 발달과정에서 강점 및 성격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가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성격, 강점, 그리고 삶의 만족 모든 변인을 자기보고식의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측정상에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강점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친구나 부모들에게 평정을 부탁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 특성이 조절변인의 역할을 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성격과 강점의 상호작용항(interaction term)을 생성하여 살펴보아야 했지만, 성격의 5개 하위요인과 강점의 20개 하위요인으로 만들어지는 상호작용항이 100개에 이르고, 이를 모두 검증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향후 연구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강점요인들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향후 청소년의 삶의 만족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러한 강점을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
[journal]
곽, 금주.
(1995)
2.
[journal]
구, 본용, 유, 제민.
(2005)
3.
[journal]
구, 현영, 박, 현숙, 장, 은희.
(2006)
4.
[journal]
국, 승희.
(2004)
5.
[book]
권, 석만.
(2008)
6.
[journal]
김, 기년, 탁, 진국.
(2013)
7.
[journal]
김, 남정, 임, 영식.
(2012)
8.
[journal]
김, 미선, 박, 성희, 김, 진영.
(2013)
9.
[journal]
김, 미진, 홍, 혜영.
(2011)
10.
[journal]
김, 영민, 임, 영식.
(2013)
11.
[journal]
김, 의철, 박, 영신.
(1999)
12.
[journal]
김, 현정, 고, 영건.
(2014)
13.
[journal]
모, 화숙, 박, 미라, 하, 대현.
(2013)
14.
[book]
민, 경환.
(2002)
15.
[journal]
문, 재우.
(2012)
16.
[journal]
서, 경현.
(2012)
17.
[journal]
서, 경현, 김, 정호, 유, 제민.
(2009)
18.
[journal]
서, 진숙, 이, 동혁.
(2010)
19.
[journal]
신, 미, 전, 성희, 유, 미숙.
(2010)
20.
[journal]
안, 창규, 채, 준호.
(1997)
21.
[book]
안, 현의, 김, 동일, 안, 창규.
(2006)
22.
[journal]
원, 두리.
(2011)
23.
[journal]
윤, 성민, 신, 희천.
(2013)
24.
[journal]
이, 화령, 임, 낭영, 류, 초롱, 서, 은국, 박, 수진.
(2008)
25. [journal] 인, 보영, 김, 인옥. (2012) 아동의 성격강점이 학교생활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7(1) : 81 - 95
26.
[book]
임, 그린, 김, 기년, 탁, 진국, 김, 태은, 임, 광모, 김, 거도, 방, 준석, 임, 슬기.
(2014)
27.
[journal]
임, 영진.
(2012)
28.
[journal]
장, 혜주.
(2012)
29.
[book]
2014
30.
[journal]
차, 경호.
(2001)
31.
[journal]
Ben-Zur, H..
(2003)
Happy adolescent the link between subject well-being, internal resources, and parental factor.
32.
[journal]
Black, B..
(2001)
The road to recovery.
33.
[book]
Boehm, J. K., Lyubomirsky, S..
(2009)
The promise of sustainable happiness. In S. J. Lopez(Ed.),
34.
[book]
Clifton, D. O., Nelson, P..
(1992)
35.
[book]
Cohen, J..
(1988)
36.
[journal]
Costa, P. T., McCrae, R. R..
(1980)
Influence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on subjective well-being: Happy and unhappy people.
37.
[journal]
Costa, P. T., McCrae, R. R..
(1992)
Four ways five factors are basic.
38.
[journal]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39.
[journal]
Diener, E., Seligman, M. E..
(2002)
Very happy people.
40.
[journal]
Diener, E., Oishi, S., Lucas, R. E..
(2003)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41.
[journal]
Diener, E., Suh, E., Lucas, R., Smith, H..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42.
[journal]
Fordyce, M. W..
(1998)
A review of research on the happiness measure: a sixty second index of happiness and mental health.
43.
[journal]
Furnham, A., Lester, D..
(2012)
The Development of a Short Measure of Character Strength.
44.
[journal]
Govindji, R., Linley, P. A..
(2007)
Strengths use, self concordance and well-being: Implications for strengths coaching and coaching psychologists.
45.
[journal]
Greenspoon, P. J., Saklofske, D. H..
(2001)
Toward an integr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pathology.
46.
[book]
Harter, J. K..
(1988)
47.
[journal]
Huebner, E. S..
(1994)
Prelimina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 scale for children.
48.
[journal]
Huebner, E. S..
(2004)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49. [journal] Linley, A. P., Harrington, S.. (2006) Strengths Coaching: A potential-guided approach to coaching psychology.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1 : 37 - 46
50.
[book]
Lopez, S. J., Harter, J., Juszkiewicz, P., Carr, J..
(2006)
51.
[book]
Lopez, S. J..
(2008)
52.
[journal]
Macdonald, C., Bore, M., Munro, D..
(2008)
Values in action scale and the Big 5.
53.
[journal]
Norman, W. T..
(1963)
Toward an adequate taxonomy of personality attributes: Replicated factor structure in peer nomination personality rating.
54.
[book]
Peterson, C., Seligman, M. E. P..
(2004)
55.
[journal]
Seligman, M. E. P., Csikszentmihalyi, M..
(2000)
56. [journal] Seligman, M. E. P., Steen, T., Park, N..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 410 - 421 10.1037/0003-066X.60.5.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