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23 KCI Impact Factor : 1.68
-
pISSN : 1738-463X / eISSN : 2734-0112
- https://journal.kci.go.kr/schooljr
pISSN : 1738-463X / eISSN : 2734-0112
The Influence of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misbehavior and teacher efficacy on burnout: Testing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황명선 1, HYO JUNG SHIN 1
1아주대학교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는 말이 있다. 교육을 이끄는 교사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아무리 효과가 입증된 교육 프로그램이라 할지라도 그를 전하는 교사가 건강하지 못하다면 그 교육은 실패하게 될 확률이 크다. 하지만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매우 심각해져가고 그로 인해 교직을 떠나는 교사가 급증하고 있다. 2014년 2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조사에 따르면 명예퇴직을 신청한 교사는 지난 5년 새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도 상반기 기준 518명에서 2014년 상반기 1,258명으로 사상 최대 수준을 보였다(중앙일보, 2014.02.04). 또한 2014년 교육부의 ‘전국 명예퇴직 신청자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명예퇴직을 신청한 교사 5명 중 1명은 정년이 10년 이상 남은 젊은 교사이며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등학교 교사보다 더 많이 사직하고, 공립학교 교사들이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더 많이 교직을 떠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으로 휴직하거나 면직되는 교사 또한 2009년에 61명에서 2012년에 112명으로 크게 늘어났다(국민일보, 2014.04.02). 이렇듯 교사가 교직에서 겪는 강도 높은 스트레스는 교사 자신에게도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야기하며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교사가 겪게 되는 심리적 변화와 관련된 개념으로 ‘소진’이 있다. 소진은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그리고 개인적 성취감 저하를 주된 증상으로 하는 심리적 증후군으로
교사가 심리적으로 소진되는 원인으로는 ‘학생 지도의 어려움’이 거론되고 있다. 실제로 명예퇴직 신청자가 급증한 2013년에 교사들이 경험한 교권 침해 사례는 2012년 보다 17.6% 증가한 394건이었고, 침해 유형 중 ‘학생과 학부모의 폭언, 협박, 폭행 등 부당행위’가 154건(39.1%)으로 가장 높은 교권 침해 사례로 꼽혔다
교사들의 소진이 학생의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많이 있지만, 문제를 보이는 학생을 지도하는 경험이 오롯이 교사의 소진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 소진의 관계를 중재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특정 요인의 매개 혹은 조절 효과가 밝혀져 왔다. 우선, 교사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교사의 내적요인으로는 교사효능감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교사효능감을 높게 유지하는 것은 소진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교사는 어려운 과제를 도전으로 여기고 접근하기 때문에 소진에도 저항적인 특성을 보이고
한편, 교사들은 학교에서 겪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유의미한 타인들로부터 받게 되는 지지를 통해 극복해나가기도 한다. 개인의 바람직한 기능 수행을 돕는 자원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적 지지’는 교사의 소진을 예방하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주목받아왔다. 사회적 지지의 요소와 역할을 규명하고 정의 내리기 위한 연구는 그동안 활발히 진행되어 왔는데,
이렇듯 사회적 지지는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교사의 효능감을 높이며 소진을 예방하는 요인으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이나 소진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이거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혹은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연구여서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볼 수 없었다.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소진을 함께 연구한 선행 연구들 또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이며 소진과 부적 상관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료 교사의 도움, 지지, 격려가 교사효능감을 높이며 높아진 효능감은 곧 소진의 하위 요소인 비인간화를 감소시키고 개인적 성취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는 연구
정리하면, 학생의 문제행동을 높게 지각하는 교사일수록 교사효능감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으며 효능감이 낮아진 교사는 결국 소진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다시 말해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문제행동은 교사의 소진을 예측할 수 있으며 그 경로를 교사효능감이 매개할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청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하여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상급자, 동료, 가족의 지지가 제공된다면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학생의 문제행동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바,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을 통하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지, 즉 통합적으로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효능감을 통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과 상호작용하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조절된 매개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여 사회적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 구의 연구 문제와 연구 모형
연구문제 1. 교사가 지각한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2. 사회적 지지가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즉, 통합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3.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즉, 통합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가?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43명을 편의 표집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부를 제외한 2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자를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9명(12.1%), 여성 211명(87.9%)으로 구성되었으며, 연령은 30대가 81명(33.8%)로 가장 많고, 20대 70명(29.2%), 40대 66명(27.5%), 50대 이상은 23명(9.6%)이었다. 교사의 경력은 10년 이상 20년 미만이 82명(34.2%)로 가장 많았고, 5년 미만 69명(28.8%), 5년 이상 10년 미만 59명(24.6%), 20년 이상 30명(12.5%) 순이었다. 종교 가 없다고 응답한 사람은 107명(44.6%)이었고, 기독교 66명(27.5%), 천주교 47명(19.6%), 불교 19명(7.9%), 기타 1명(0.4%) 순이었다.
학생의 문제행동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Freidman(1995)이 개발한 학생행동유형(Pupil Behavior Pattern) 척도를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Caplan, Cobb, French, Harrison 그리고 Pinneau(1980)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교사의 심리적 소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SPSS 21.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hronbach’s α의 내적 신뢰도 계수를 산출 하였다.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과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이용하여 학생의 문제행동과 소진에 있어 교사효능감의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1.0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끝으로 SPSS Macro를 사용하여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효능감을 경유하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에 의하여 조절되는지 즉,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변수인 학생의 문제행동,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과 소진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은 -.513으로 보통수준의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이며 (
학생문제행동과 소진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1단계에서 학생문제행동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고(β=-.513,
즉, 1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학생문제 행동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전체효과(C)는 -.513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생의 문제행동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세 번째 단계에서 매개변수인 교사효능감을 고려하였을 때, 소진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소진에 대한 학생문제행동의 영향력이 두 번째 단계(β=.507)보다 세 번째 단계(β =.328)로 줄어들었다. 이는 소진에 대한 학생의 문제행동을 통제한 상태에서, 매개변수인 교사효능감이 종속변수인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계수는 .179(=-.513×-.349)였다. 매개효과의 계수값인 .179가 통계적으로vy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이용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위해 표본수 2,000개를 재추출하였고, 신뢰 구간을 9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따라서 학생의 문제행동은 교사의 효능감을 떨어트리고, 이것이 소진으로 연결되는 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학생의 문제행동이 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 또한 유의하므로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따라 상이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조절효과를 해석하기 위해 학생의 문제행동 을 정도에 따라 상.하 집단으로 구분하고, 조절변인인 사회적 지지도 그 정도에 따라 상.하로 나누어 회귀식을 유도하였다. 유도한 회귀선을 그림으로 나타낸 결과는
앞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이 두 가지 효과를 결합한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은
교사효능감이 소진(b1)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b1=-.349,
조건부 간접효과(conditional indirect effect: 매개된 조절효과)의 크기를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
이는 사회적 지지 변수의 크기가 커질수록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변화되는 것으로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매개된 조절효과의 검증을 위해 평균값과 ±1 표준 편차 값을 이용하여 조건부 값에 따른 간접효과의 계수 및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해보았다. 그리고 이는 부트스트래핑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경쟁모형으로 학생 문제행동의 영향을 받아 교사효능감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과 소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보고자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우선, 학생의 문제행동과 소진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앞서 분석한 매개된 조절모형에서와 동일한 내용으로,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효능감을 낮추고, 이것이 소진으로 연결되는 매개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밝혔다. 둘째, 교사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따라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 한 후에도
앞에서의 분석 결과 매개효과는 존재하고,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학생의 문제행동은 교사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소진으로 가는 매개경로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소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영향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이 두 가지를 결합한 조절된 매개효 과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본 연구는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의 문제행동과 심리적 소진,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교사가 지각한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존재할 것이며, 사회적 지지가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여 통합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또한 경쟁모형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설정하여 사회적 지지가 교사 효능감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지 살펴보았다. 학생의 문제행동은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사효능감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생의 문제행동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교사효능감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학생의 문제행동→교사효능감」,「학생의 문제행동→심리적 소진」,「학생의 문제행동, 교사효능감→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그 관계가 모두 유의하여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교사효능감을 통해서 간접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의 소진으로 이어질 때, 교사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학생의 문제행동이 소진으로 이어질 때 이를 교사효능감이 매개한다는 선행연구
둘째, 사회적 지지가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사가 학생의 문제행동을 심각하게 지각할수록 교사효능감은 낮아지지만,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학생의 문제행동이 심각한 상황에도 교사효능감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살펴본 선행연구
셋째,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의 경쟁모형으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았다. 교사효능감 저하와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지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결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나 이 역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교사효능감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가 지각하는 직장 상사, 동료, 가족의 지지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소진을 조절하는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서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소진의 구조분석을 진행하였던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보이는 교사효능감을 통한 매개된 조절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효능감을 통해서 소진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효능감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이 교사의 소진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을 높이는 것이 소진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의 문제행동을 경험하는 상황 속에서 소진을 낮게 경험하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아울러 중점적으로 높여야하는 내적 요인도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모두 학생의 문제행동이 증가할 때 교사효능감이 낮아지지만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은 문제 행동이 점차 개선되면 교사효능감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생의 문제행동을 겪는 교사에게 직장 상사와 동료, 가족의 지지는 교사효능감을 보호하는 보호요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학생의 문제행동이 점차 나아지는 시점에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는 교사효능감을 큰 폭으로 상승시켜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즉, 높은 사회적 지지는 교사가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지도할 때 효능감 저하를 경험하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심한 학생의 문제행동 속에서 교사의 효능감이 저하되었다 하더라도 추후 상황이 나아질 때 다시 효능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가 가지는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학생의 문제행동이 심각한 상황뿐만 아니라 점차 나아지는 시점에서도 사회적 지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살펴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매개된 조절모형을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효능감이 매개할 때, 이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결론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그동안의 연구들에서는 밝혀지지 않았던 사회적 지지의 유용한 개입지점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측하면 학생의 문제행동은 교사의 효능감을 저하시키고 효능감이 저하된 교사는 소진을 경험하는데, 효능감이 저하되기 이전에 사회적 지지를 높게 경험하게 된다면 효능감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소진을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문제행동으로 교사가 효능감 저하를 경험하기 전에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여 효능감을 높인다면 교사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교사가 학생의 문제행동을 낮게 지각하고 있는 상황일 때 사회적 지지의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야하는 적절한 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의 경쟁모형으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았으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교사효능감이 저하되어 소진이 발생될 때, 사회적 지지는 그 영향을 조절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교사효능감이 저하되기 이전에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협조가 가능한 경기 소재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기에 연구결과를 전체 초등교사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더욱 신뢰로운 결과를 위해 표집의 수를 더욱 늘리고, 일반화 할 수 있는 표집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응답자의 주관적인 답변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소진은 낮은 평균을 보였으며, 학생들의 문제행동도 비교적 낮은 평균을 보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학생의 문제행동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대상에 대한 준거를 설정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참여자를 살펴보면 여성이 87.9%를 차지하고 일반교사가 83.3%를 차지하여 선행연구들에서 차이를 보였던 성별과 직위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소진의 차이를 자세히 살펴보지 못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성별, 직위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표집하고, 이러한 특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 확인한 연구모형이 달라지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장 상사, 동료, 그리고 가족의 지지가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의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보여 소진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을 확인하였지만 어떠한 내용의 사회적 지지가 실질적으로 교사효능감을 높여주는지에 대한 설명은 하지 못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이루고 있는 요인으로 알려진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네 차원 중에서 어떠한 지지가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차원을 규명한다면 교사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
[thesis]
강, 학구.
(1996)
2.
[journal]
구, 본용, 김, 영미.
(2014)
3.
[thesis]
권, 귀염.
(2002)
4.
[web]
5.
[web]
6.
[thesis]
김, 미연.
(2009)
7.
[journal]
김, 상효, 엄, 준용.
(2014)
8.
[thesis]
김, 소라.
(2010)
9.
[journal]
김, 아영, 김, 미진.
(2004)
10.
[thesis]
김, 지현.
(2012)
11.
[journal]
김, 현지, 박, 찬수, 이, 정희.
(2010)
12.
[thesis]
김, 혜경.
(2011)
13.
[thesis]
박, 대준.
(2012)
14.
[thesis]
박, 성호.
(2001)
15. [journal] 박, 영호, 김, 정인. (2000)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10(1) : 453 - 481
16.
[thesis]
박, 지원.
(1985)
17.
[thesis]
서, 선순.
(2007)
18.
[journal]
서, 지영, 김, 희정.
(2011)
19.
[thesis]
손, 혜진.
(2010)
20.
[journal]
신, 종호, 양, 일, 최, 효식.
(2007)
21.
[journal]
양, 연숙.
(2006)
22.
[journal]
유, 정이.
(2002)
23.
[journal]
이, 경화, 주, 미정, 이, 희영.
(2011)
24.
[journal]
이, 봉우.
(2014)
25.
[thesis]
이, 상은.
(2006)
26.
[journal]
이, 지연, 변, 석민, 이, 채희.
(2008)
27.
[web]
28.
[thesis]
이, 현.
(2008)
29.
[thesis]
이, 현정.
(1998)
30.
[journal]
임, 성택.
(2008)
31.
[journal]
임, 성택, 어, 성민, 이, 영민, 김, 나연.
(2012)
32.
[journal]
조, 성자, 문, 백수, 민, 하영.
(2008)
33.
[journal]
조, 현주, 박, 경애.
(2007)
34.
[journal]
한, 광현.
(2005)
35.
[web]
36.
[journal]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7.
[journal]
Baron, R. M.,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38.
[journal]
Belcastro, P. A..
(1982)
Burnout and its relationship to teachers' somatic complaints and illness.
39.
[journal]
Berryhill, J., Linney, J. A., Fromewick, J..
(2009)
The effects of education accountability on teachers: are policies too stress-provoking for their own good?
40.
[journal]
Blase, J. J..
(1986)
A qualitative analysis of sources of teacher stress: consequences for performance.
41.
[journal]
Bloch, A. M..
(1977)
The Battered Teacher.
42.
[journal]
Borg, M. G..
(1990)
Occupational stress in British educational settings: a review.
43.
[journal]
Borg, M. G., Riding, R. J., Falzon, J. M..
(1991)
Stress in teaching: A study of occupational stress and its determinants,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among primary schoolteachers.
44.
[journal]
Brouwers, A., Evers, W. J., Tomic, W..
(2001)
Self‐efficacy in eliciting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secondary‐school teachers.
45.
[journal]
Cohen, S.,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46. [book] Corey, G.. (1998)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4/e.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Asia
47.
[journal]
Dicke, T., Parker, P. D., Marsh, H. W., Kunter, M., Schmeck, A., Leutner, D..
(2014)
Self-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classroom disturbances, and emotional exhaustion: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of teacher candidates.
48. [book] Dworkin, A. G.. (1987) Teacher Burnout in the Public Schools: Structual Causes and Consequences for Childre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9.
[journal]
Farber, B. A..
(1984)
Stress and burnout in suburban teachers.
50.
[journal]
Farber, B. A., Miller, J..
(1981)
Teacher Burnout: A Psychoeducational Perspective.
51.
[journal]
Forey, W. F., Christensen, O. J., England, J. T..
(1994)
Teacher burnout: A relationship with Holland and Adlerian typologies.
52.
[journal]
Friedman, I. A..
(1995)
Student Behavior Patterns Contributing to Teacher Burnout
53.
[journal]
Hastings, R. P., Bham, M. S..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Behaviour Patterns and Teacher Burnout.
54. [book]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55. [book] Kahn, R. L., Antonucci, T. C.. (1980) Conveys over the life course: Attachment roles, social support.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s Academic Press
56. [book] Karabenick, S. A.. (1998) Help seeking as a strategic resource. In S. A. Karabenick (Ed.), Strategic help seeking: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teaching. Erlbaum
57. [journal] Kokkinos, M.. (2007) Job stressors, personality and burnout in primary school teacher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1) : 229 - 243 10.1348/000709905X90344
58.
[journal]
Maslach, C.,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59. [book] Nelson-Le Gall, S., Resnick, L.. (1998) Help seeking,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social practice of intelligence in school. In S. A. Karabenick (Ed.), Strategic help seeking: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teaching. Erlbaum
60.
[journal]
Pierce, C. M., Molloy, G. N..
(1990)
Psychological and biographical differences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experiencing high and low levels of burnout.
61.
[journal]
Pietarinen, J., Pyhältö, K., Soini, T., Salmela-Aro, K..
(2013)
Reducing teacher burnout: A socio-contextual approach.
62.
[journal]
Poulou, M..
(2007)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its sources: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63.
[journal]
Preacher, K. J., Rucker, D. D.,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64.
[journal]
Schonfeld, I. S..
(2001)
Stress in 1st-year woman teachers: the context of socia support and coping.
65.
[journal]
Sharplin, E., O’Neill, M., Chapman, A..
(2011)
Coping strategies for adaptation to new teacher appointments: intervention for retention.
66.
[journal]
Skaalvik, E. M., Skaalvik, S..
(2010)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 burnout: A study of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