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932386},
author={Deuk-Chang Cho},
title={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journal={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
issn={1598-8503},
year={2014},
number={26},
pages={177-189},
doi={10.18212/cccs.2014..26.008}
TY - JOUR
AU - Deuk-Chang Cho
TI -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JO -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PY - 2014
VL - null
IS - 26
PB - The Society For Chinese Cultural Studies
SP - 177
EP - 189
SN - 1598-8503
AB - 1950년대의 대만은 ‘反共抗俄(공산당에 반대하고 러시아에 저항)’의 문예가 정부의 주도하에 대세를 점하고 있었지만, 1960년대에 들어와서 서구와의 빈번한 교류로 서구의 모더니즘 문예사조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어, 대만 문예계는 새로운 시기로 접어들게 된다. 이 시기에 『現代文學』, 『劇場』, 『歐洲雜誌』등의 잡지들은 서구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소개하면서 연극방면에서는 서사극, 실존주의연극, 부조리극, 잔혹극, 리빙 시어터(The Living Theatre) 등을 소개하여 대만 문예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 시기에 부조리극의 영향을 받고 부조리극의 창작수법을 원용하여 희곡을 창작한 극작가로 馬森과 姚一葦 가 등장한다. 이들 중 馬森이 가장 대표적인 극작가로, 그는 1961년에 프랑스 파리에 유학가서 영화와 연극을 전공하면서 친히 부조리극을 접촉하고 서구사회에서 살면서 느낀 자신의 경험 등을 기초로 하여 부조리극의 예술기교를 원용하여 이 시기에 『蒼蠅與蚊子』(1967 년), 『一碗涼粥』(1967년), 『獅子』(1968년), 『弱者』(1968년), 『蛙戲』(1969년) 등 모두 5편의희곡을 창작하였다.
馬森의 1960년대 희곡에서 부조리극의 예술수법과 비슷한 요소는 다음과 같다. 구조면에서 『蒼蠅與蚊子』, 『一碗涼粥』, 『獅子』, 『弱者』는 서구의 부조리극처럼 인과율에 기초한사실주의희곡의 정형화된 구조를 따르지 않고 있다. 등장인물면에서 『蒼蠅與蚊子』, 『一碗 涼粥』, 『獅子』, 『弱者』의 등장인물들은 대부분 비개성적이고, 어떤 인물은 기호식의 인물이다. 그러나 모든 인물이 서구의 부조리극에 등장하는 고도로 추상화된 기호식의 인물은 아니며, ‘脚色式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희곡언어방면에서 대부분의 작품들이 언어소통의 곤란함과 부조리함을 드러내고 있지만, 서구의 부조리극처럼 언어가 해체되어 무질서하고 두서가 없는 경우가 많지가 않다. 무대배경면에서 어떤 작품의 경우는 특별한 무대배경이 없고, 어떤 작품의 경우는 무대배경이 아주 간단하지만 존재의 부조리함을 표현하고 있으며, 어떤 작품은 도구, 음향 및 조명으로 황량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서구의 부조리극처럼 현실의 의미와 인생의 함의를 직유하고 있지만, 서구의 부조리극처럼 무질서한 형태를 지니고있지 않다. 표현기교면에서 의인화 수법, 의식의 흐름 기법, 이중배역, 직유, 대화의 중복, 독백, 영화, 상징, 아이러니 등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예술수법의 운용은 리얼리즘 연극의 제4의 벽이 규정하는 각종 구속에서 벗어난 것이며, 리얼리즘 연극의 체계화되고 정형화된 구성을 배제하여, 관객들의 환각을 불러일으키는 대신에 삶속에 내재된 질서를 추구한 것이다.
이들 작품들은 많은 부분에서 비록 부조리극의 예술수법을 원용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중국전통예술로부터도 영향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相聲의 맛을 살린 대화, 자유로운시공간, 인물의 독백, 대화의 중복 등등이다.
馬森이 1960년대에 운용한 부조리극의 예술수법은 이전의 리얼리즘 혹은 유사 리얼리즘희곡과는 다른 풍부하고 뚜렷한 현대적 색채를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또한 당시 대만 극단의 생명력을 풍부하게 하였고, 대만연극에 생기를 불어넣어, 대만연극사에 있어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그것으로 인해 대만 연극은 서양현대극과 보조를 맞출 수가 있었다. 그들의 이러한 시도는 70년대 이후 대만의 연극관과 연극실천의 변혁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KW -
DO - 10.18212/cccs.2014..26.008
ER -
Deuk-Chang Cho. (2014).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 26, 177-189.
Deuk-Chang Cho. 2014,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 no.26, pp.177-189. Available from: doi:10.18212/cccs.2014..26.008
Deuk-Chang Cho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26 pp.177-189 (2014) : 177.
Deuk-Chang Cho.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2014; 26 : 177-189. Available from: doi:10.18212/cccs.2014..26.008
Deuk-Chang Cho.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no.26(2014) : 177-189.doi: 10.18212/cccs.2014..26.008
Deuk-Chang Cho.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 26, 177-189. doi: 10.18212/cccs.2014..26.008
Deuk-Chang Cho.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 2014; 26 177-189. doi: 10.18212/cccs.2014..26.008
Deuk-Chang Cho.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2014; 26 : 177-189. Available from: doi:10.18212/cccs.2014..26.008
Deuk-Chang Cho. "A Study on Artistry of Absurdes Theater of Ma Sen 1960's Drama"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no.26(2014) : 177-189.doi: 10.18212/cccs.2014..26.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