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507445},
author={Ueng-Sang Kwon},
title={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journal={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issn={1225-083X},
year={2010},
number={56},
pages={61-89},
doi={10.15792/clsyn..56.201012.61}
TY - JOUR
AU - Ueng-Sang Kwon
TI -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JO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Y - 2010
VL - null
IS - 56
PB - Chinese Literary Society Of Yeong Nam
SP - 61
EP - 89
SN - 1225-083X
AB - 온완 시의 기본적 바탕은 어릴 때부터 쌓아온 유가 학문과 그에 따른 선비적 인격이다. 유가적 도덕을 바탕으로 한 선비적 풍격은 그녀의 시를 자존감과 고상함이 느껴지도록 만들었다. 거기에다 유가적 이상에 따른 온전한 가정을 꾸리고자 하는 소망은 그녀를 사랑에 눈뜨게 하면서 또 어느 여성시인 못지않은 섬세하고 완곡하며 정감 있는 애정시를 짓고 있다. 온완 시의 이 상반되는 두 경향은 그녀 시의 다채로움을 반영하는 것으로, 남아 있는 시가 30수에 불과하지만 “간혹 스스로 가사를 지으면 淸雅하면서도 뜻이 있어서 다른 사람이 미칠 수 없는 경지에 이른다”다는 평을 받았다.
온완은 기녀 신분으로서 “天下談說之士” 사이에 “從遊蓬島宴桃溪, 不如一見溫仲圭(蓬島로 놀러가고 桃溪에서 연회하는 것보다 溫仲圭를 한 번 보는 것이 더 낫다)”라는 명성을 얻었으며, “翰墨을 잘 하고 孟軻書에 자못 능통하며 특히 詩筆에 뛰어났다.”는 평을 들은 유가의 선비였다. 따라서 張 太守도 그녀가 남자였다면 반드시 장원급제했을 것이라며 “계수나무 가지를 佳人이 꺾도록 허락한다면 마땅히 甘棠의 女狀元이 되었으리라(桂枝若許佳人折, 應作甘棠女狀元)”라고 칭찬했다. 온완은 늦게 시를 배웠지만 “多驚句” 하여 關中에서 淮甸까지 “人人爭傳誦” 하였으니, 蔡子醇도 “淸虛子가 琬이 詩에 능하여 驚句가 많다고 했는데, 믿을 만하도다. 내가 일찍이 방문하여 완의 시를 얻었는데, 겨우 삼십 편을 얻었지만 말마다 모두 묘하니 한갓 입과 귀의 끝에서 나온 것은 아니라고 하겠다.”고 했다.
또 하나 주목할 만한 것은 온완 시도 보통 기녀시인처럼 절구시, 그 중에서도 칠언절구시가 압도적으로 많지만 그 내용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녀시인들에게 절구시가 많은 것은 절구시의 歌唱性 때문이니, 기녀들은 연석 상에서 가창할 필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온완의 경우는 이와 다르다 할 것이니, 온완은 일반적인 문기나 예기들이 하는 역할을 거의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녀는 실제 “性不樂笙竽” 하다거나 또 “性雖不喜謳歌” 하다고 하여 천성적으로 음악을 즐기지 않았을 뿐 아니라 송대 가창 양식인 詞 작품은 하나도 남기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가창을 위해 지었거나 가창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일반 기녀시인들의 시가 주로 이별을 슬퍼하거나 그리움을 표현하는 곱고 여린 감성을 드러내고 있는데 비해, 온완의 시는 고상함과 고결함, 은일의 추구 등이 주를 이루며, 애정시조차도 절제된 감정을 은유적이고 개인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니, 내용적으로도 가창과는 맞지 않는다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앞서 제기한 기녀문인으로서의 특이한 창작편력의 이유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온완의 시를 보면 정통 유가 교육을 받은 사대부 문인 시의 풍모를 느낄 수 있으니, 따라서 기녀 역할을 할 때 필요한 詞보다는 정통 사대부들이 최고의 전당이라고 여기는 詩만을 지었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온완이 지었다는 500수의 시가 전해지지 않아서 그 전체 면모를 파악하기는 힘들지만 이처럼 이 30수만으로도 온완 시의 다채로운 내용과 비범한 특징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할 것이다.
KW -
DO - 10.15792/clsyn..56.201012.61
ER -
Ueng-Sang Kwon. (2010).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6, 61-89.
Ueng-Sang Kwon. 2010,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56, pp.61-89.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56.201012.61
Ueng-Sang Kwon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6 pp.61-89 (2010) : 61.
Ueng-Sang Kwon.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2010; 56 : 61-89.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56.201012.61
Ueng-Sang Kwon.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56(2010) : 61-89.doi: 10.15792/clsyn..56.201012.61
Ueng-Sang Kwon.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6, 61-89. doi: 10.15792/clsyn..56.201012.61
Ueng-Sang Kwon.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2010; 56 61-89. doi: 10.15792/clsyn..56.201012.61
Ueng-Sang Kwon.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2010; 56 : 61-89.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56.201012.61
Ueng-Sang Kwon. "溫琬 시의 내용과 특징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56(2010) : 61-89.doi: 10.15792/clsyn..56.20101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