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3 KCI Impact Factor : 0.82
-
pISSN : 1229-2435 / eISSN : 2799-4767
- https://journal.kci.go.kr/kbiblia
pISSN : 1229-2435 / eISSN : 2799-4767
An Investigation on Image Needs and Contexts in Image Search Failure
1이화여자대학교
최근 발전된 디지털 정보 환경에서 이미지의 검색과 이용은 일반 이용자의 보편적 정보행위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웹 검색 엔진을 포함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은 이용자의 기대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용자가 만족할 만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우선적인 과제는 이용자가 지닌 이미지요구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미지 검색 분야에서는 전통적으로 이용자의 이미지 요청(request)이나 질의(query)를 분석 하여 이용자의 이미지요구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용자의 이미지요구 규명을 위한 분석은 미술 사학, 미국사 등의 특정한 도메인 환경에서 이루 어져 왔으며
이와 함께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이용자 관점에서 실패한 이미지 검색 사례를 통하여 맥락기반의 이미지요구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미지 검색 분야에서 검색 실패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텍스트 검색과 다른 이미지 검색의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이미지 검색은 텍스트 검색과 달리 이미지 검색 시에 사용하는 질의의 구체성이 높아서 검색 실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실제적 검색 엔진 질의어와 검색결과를 분석한
이미지 정보 서비스와 시스템 발전을 위해서 이용자의 이미지요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이미지 검색 분야의 주요한 분야이다. 이용자의 이미지요구를 규명하기 위한 여러 측면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본 연구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는 이용자의 이미지 질의분석 연구와 맥락기반의 이미지요구 분석으로 크게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이미지요구에 기반을 두어 질의를 형성하며, 형성된 질의를 통해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나 서비스에 원하는 이미지를 요청하게 된다. 웹 검색 시스템이나 전문적인 이미지 검색시스템이 활성화되기 이전 에는 소수의 관련 분야 이용자들이 특정 이미지 컬렉션 서비스에 요청서를 작성하거나 구두로 요청 내용을 전달하여 이용하였다. 1990년대 후반 이후에는 다양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과 웹 기반 이미지 검색이 활성화되면서 일반 이용자가 활발하게 웹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지 검색 분야 에서는 이용자가 남긴 검색 질의를 분석하여 이미지요구를 규명하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 되었다. 이용자의 검색 질의 분석은 일반적으로 질의를
최근에는 보다 일상생활 맥락에서의 이미지 요구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정보검색에 있어서 맥락은 정보요구를 명확 하게 이해하여 규명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정보요구의 맥락은 다면적 이고 복합적인 개념이며 이를 규명하는 여러 연구들이 있다. 그 중에서 일반적인 정보추구행위와 관련하여 맥락을 탐색하는 연구는
이와 같이 일반적인 정보검색에 있어서 맥락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최근 이미지요구에 관련하여 맥락을 탐구하는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관련 선행연구에서 이미지요구를 규명하고 명세화하려는 시도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개선하고자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용자가 이미지 검색에서 실패하는 이미지요구의 특성을 조명하여 이를 통해서 이미지 서비스나 시스템 개선 사례를 제시하려는 시도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본 연구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연구 참여자는 2014학년도 2학기 서울 소재 사립 A 대학의 핵심교양과목인 <디지털네이티브와 검색엔진>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수강생은 총 71명이며, 71명 모두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는 이미지 검색 실패 사례(critical incident)의 기억을 떠올리도록 안내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색 실패는 검색 건수가 0건이 아니라 상위 50건의 검색 결과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찾지 못한 상황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검색실패의 정의는 질의 상에 나타난 키워드를 사용하여 이미지요구와 관련 없는 이미지를 제시하는 웹 검색엔진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이용 자는 웹 검색 엔진 결과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첫 번째 페이지의 검색결과에 주목한다는 점에 기인하다
수집된 데이터는 세 단계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첫째는 이용자의 이미지요구 분석이다. 두 번째 단계는 이미지요구에 내재되어 있는 맥락의 규명이다. 마지막 단계는 질의유형 분석으 로서 이용자가 지닌 이미지요구에 따라 직접 기술한 질의어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본적으로 내용분석 기법에 따라 정해진 범주화 체계에 의해 연구자가 코딩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밝힌 이미지요구는
기존 연구는 주로 일반적인 정보추구 환경에서 맥락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으나,
이미지를 찾기 위해서 이용자가 직접 기술한 질의어는 일반적으로 고유어와 비고유어 특성과 정련어와 비정련어 개념으로 분석한다
연구 참여자는 총 70명이며, 연구 참여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은
검색엔진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본 연구 참여자 70명이 제시한 이미지요구는 총 5,504단어로 표현되었으며, 이미지 요구 당평균 78.63 단어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검색에 실패하는 이미지요구는 추상적이거나 개념적이라기보다는 일상적인 이미지요구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이미지요구이기 때문에 검색에 실패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이미지요구이나, 이미지요구가 지니는 맥락적인 요인으로 인해 실 패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용자의 이미지요구는 구체적이거나 일반적/지칭 가능한 요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미지요구는 여러 맥락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맥락요소는 업무나 과제에 관련된 요소, 검색과 관련된 요소, 주제에 관련된 요소, 이용에 관련된 요소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용 맥락요소는 보다 구체적인 하위 7가지 맥락요소
이미지 이용목적 맥락요소의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인
본 연구의 데이터에서 나타난 총 70건의 이미지 검색 실패 질의에 사용된 단어 수는 214건이며, 검색 질의 당 평균은 3.06단어이다. 이러 한 결과는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밝힌 바와 유사하며 이미지 검색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검색에 비해서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미지 검색 실패 사례를 분석하여 이용자가 지닌 이미지요구의 특성을 맥락요소 기반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이용자의 이미지 검색 실패 사례에 내재된 이미지요구, 이미지요 구의 맥락, 이미지 질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이미지 검색 실패 사례에 나타난 이미지요구의 특성 규명이다. 총 70건의 이미지 검색실패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미지요구의 특성은 구체적 이미지요구와 일반적/지칭 가능한 이미지 요구가 주된 범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 하면, 특정한 도메인이나 이미지 컬렉션을 대상으로 하거나
두 번째 연구문제는 이미지요구에 내포된 맥락요소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
세 번째 연구문제인 이용자의 이미지요구에 기반을 둔 질의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다. 70개의 이미지요구에 대한 질의의 구성은 총 78.63단어이며, 이는 표현된 이미지요구에 비해서 짧게 축약되어 이미지요구 당 평균 3.06단어로 함축되는 특성을 지녔다. 이용자는 이미지요구를 질의로 표현하여 이미지 검색 시스템과 상호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용자가 사용한 질의의 특성을 네 가지 측면인 고유어/비고유어, 정련어/ 비정련어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고유어/비 고유어와 정련어/비정련어 쌍 구성으로 볼 때 특정한 쌍이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기 보다는 네 쌍이 모두 근소한 차이를 보이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용자의 이미지요구에 대한 검색실패 사례를 기존 연구와 연계하여 살펴보면, 비고유어/비정련어 쌍을 특징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 실증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미지 검색은 정보이용자의 일반적인 정보 행위의 하나이며,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이용 하는 이용자는 검색결과에 대한 기대가 높다. 이용자의 이미지요구를 명확하게 규명하여 시스템이나 서비스에 반영하는 것은 이미지 검색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이용자가 검색에 실패한 이미지 검색 사례를 분석하여 이미지요구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미지요구에 배태된 맥락요소를 분석 하였다. 이와 함께 이용자가 지닌 이미지요구를 표현한 질의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이미지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있어서 이용자의 이미지요구 상에서 나타난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맥락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제안할 수 있다. 현재 일반적인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나 웹 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은 텍스트 검색 시스템의 근간을 기반으로 구현되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텍스트 검색과 같이 짧은 키워드를 질의로 사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미지 검색은 검색 실패율이 높고, 이미지요 구의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이미지요구를 맥락 요소를 구체화하여 함께 수용할 수 있는 이미지 검색 시스템 기능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이미지 검색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에 있어서 질의어 외에 사용목적 이나 과제/업무 목적을 표현하게 한다면, 향상된 검색결과 제시가 가능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이미지요구와 관련하여 이용자가 사용하는 적합성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가 후속연구로 필요하다. 이미지 검색은 텍스트 검색과 달리 이용자가 많은 수의 검색 결과를 브라우징하는 경향이 있다. 즉, 검색 결과의 브라우징 셋(browsing set)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는 기존의 이미지요구에 배태된 맥락 요소를 기반으로 이미지의 적합성을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이미지 검색 결과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사용하는 요소를 규명하는 것은 이미지 검색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용자가 지닌 이미지요구를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실질적으로는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나 서비스 개선에 있어서 제안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지닌 제한점은 연구 참여자의 성별 구분에 있어서 여자로 한정되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한점에 따라서 연구결과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남녀의 성비를 변수로 사용 하지는 않았지만,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있어서 제한적이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전공에 따라서 지니는 이미지요구와 맥락요소가 상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확장하여 남녀 모두를 연구 참여자로 확대시키고, 전공별 차이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여 보다 일반화된 연구결과 도출을 기대한다.
1. [other] Batley, S.. “Visual information retrieval: Browsing strategies in pictorial database.” Proceedings of 12th International Online Information meeting 373 - 381
2.
[journal]
Chang, S. J. L., Lee, Y. Y..
2001
“Conceptualizing context and its relationship to the information behaviour in dissertation research process.”
3.
[journal]
Chen, H. L..
2001
“An analysis of image queries in the field of art history.”
4. [other] Choi, Y.. User queries in image searching. Proceedings of the 72nd ASIS&T Annual Meetings
5.
[journal]
Choi, Y..
2010
“Effects of contextual factors on image searching on the Web.”
6.
[journal]
Choi, Y., Rasmussen, E. M..
2003
“Searching for images: the analysis of users' queries for image retrieval in American history.”
7.
[journal]
Chung, E., Yoon, J..
2010
“An exploratory analysis on unsuccessful image searches.”
8.
[journal]
Chung, E., Yoon, J..
2011
“Image needs in the context of image use: An exploratory study.”
9.
[report]
Conniss, L. R., Ashford, A. J., Graham, M. E..
2000
10.
[journal]
Courtright, C..
2007
“Context in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11.
[journal]
Cunningham, S. J., Bainbridge, D., Masoodian, M..
2004
“How people describe their image information needs: a grounded theory analysis of visual arts queries.”
12. [other] Cunningham, S. J., Masoodian, M.. “Looking for a picture: an analysis of everyday image information searching.” Joint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 198 - 199
13. [book] Enser, P. G. B., McGregor, C.. 1992 Analysis of visual information retrieval queries. British Library Research and Development 6104 British Library
14.
[journal]
Fidel, R..
1997
“The image retrieval task: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image databases.”
15.
[journal]
Goodrum, A., Spink, A..
2001
“Image searching on the Excite Web search engine.”
16.
[journal]
Jansen, B. J..
2008
“Searching for digital images on the web.”
17.
[journal]
Johnson, J. D..
2003
“On contexts of information seeking.”
18.
[journal]
Jörgensen, C..
1998
“Attributes of images in describing tasks.”
19.
[journal]
Kelly, D..
2006a
“Measuring online information seeking context. Part 1. Background and method.”
20.
[journal]
Kelly, D..
2006b
“Measuring online information seeking context. Part 2. Findings and discussion.”
21.
[journal]
Pu, H-T..
2008
“An analysis of failed queries for web image retrieval.”
22. [book] Spink, A., Jansen, B., Blakely, C., Koshman, S.. 2006 A study of results overlap and uniqueness among major Web search eng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