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3 KCI Impact Factor : 0.82
-
pISSN : 1229-2435 / eISSN : 2799-4767
- https://journal.kci.go.kr/kbiblia
pISSN : 1229-2435 / eISSN : 2799-4767
A Study of China’s Reading Campaign
1경기대학교
세계적인 인터넷의 아버지로 불리는 니콜라스 카(Nicholas Carr)는 저술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2011) 』 과 『유리 감옥: 생각을 통제하는 거대한 힘(2014) 』 에서 생각과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008년에 개최된 IFLA의 WLIC는 국가적 차원의 독서운동이 도서관과 독서를 위한 강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하나의 의제로 진행하였다. 디지털시대의 이러한 사회적 현상의 의미는 독서는 단지 문자를 읽는 것 이상의 생각하는 힘을 길러 주는 것이며, 독서는 더 이상의 개인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각국은 국민들의 독서습관 형성과 독서의 생활화를 위하여 다양한 독서운동과 독서의 해 지정 등을 운영하고 있다. 영국의 ‘북스타트’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등과 같은 독서운동과 영국(1998년과 2008년), 일본(2010년), 호주(2012년), 중국(2014년) 등에서 실시한 독서의 해 지정 등이 대표적인 독서문화진흥사업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1960-70년대에 정부의 지도 아래 범국민적으로 ‘책 읽기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2008년 ‘책 읽기, 정부가 나선다’라는 제목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독서문화진흥운동과 2012년 독서의 해 지정 등의 사업을 추진하였다. 중국의 경우 교육사업의 하나로 1993년부터 전국부녀자연합회 주최로 ‘청소년 독서교육’을 추진하였으며, 2006년부터 정부 주도로 통합적 독서운동인 ‘전민독서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각국의 다양한 독서운동은 시민의 독서생활과 가정독서활동 및 평생학습이라는 독서문화 형성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국의 독서운동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독서 현황과 ‘청소년독서교육 활동’에 이어 ‘전민독서활동’으로 전개하고 있는 독서운동 현황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해외사례의 하나로서 중국의 독서운동에 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해외 독서운동 사례조사의 하나로 중국의 독서와 독서운동의 현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목적으로 문헌연구와 인터넷 조사방법 및 메타스터디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의 독서 현황 조사는 중국출판사이트(中国出版网)에서 조사 및 공개하는 ‘전국국민독서조사(全国国民阅读调查)’의 공식 데이터를 참고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독서 현황 조사의 내용과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1) 중국의 독서 현황 조사는 1999년부터 2011년까지를 연구의 범위로 진행하며, 독서하는 이유와 독서하지 않는 이유를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다만 초기의 1999년, 2001년, 2003년과 최근의 2008년과 2011년(2013년 발표)의 공개 데이터를 대상으로 독서 현황을 조사하여 종합적인 분석에는 제한이 있겠다.
2) 독서율과 독서량 조사의 경우 2003년부터 2013년까지를 연구의 범위로 진행하며, 성인과 미성년자로 구분하고 일부 전자책 독서량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다만 조사 대상과 내용에 대한 공개 데이터가 일정하지 않아 일률적인 분석에는 제한이 있겠다.
둘째, 중국의 독서운동 현황 조사는 1993년부터 2015년 현재까지를 연구의 범위로 진행하며, ‘청소년애국주의독서교육활동(靑少年愛國主義讀書教育活动, 일명 청소년독서교육활동)’과 ‘전민독서교육활동(全民阅读教育活动 또는 全民阅读活动, 일명 전민독서활동)’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인 현황 조사는 전민독서활동 조직협조부(全民阅读活动组织协调办公室)에서 공개한 2008년과 2009년의 보고서 외에 관련 문헌과 웹상의 자료를 참고하여 진행하며, 독서운동의 배경과 운영방식 및 주요 활동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중국의 독서운동 연구에 대한 배경으로 국내 외와 중국에서 이루어진 독서운동 관련 선행연구와 영국과 미국 및 일본의 독서운동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와 국외 및 중국으로 구분하여 독서운동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국외의 독서운동과 관련하여
국내의 독서운동과 관련하여
중국의 경우 근래 들어 독서운동과 관련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독서홍보운동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국내외와 중국에서 독서운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새로운 독서프로그램 소개와 기존 독서운동의 사례 분석 외에 독서홍보운동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중독서운동과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세계 여러 나라는 다양한 독서운동을 전개하여 왔다. 우선 영국의 경우 1990년대 들어 대대적으로 다양한 독서운동을 전개하였다. 대표적으로 1992년부터 아이들이 유아기부터 책을 가까이하고 성장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독서에 흥미를 갖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유아들에게 무료로 책을 나누어 주는 ‘북스타트 운동’이 시작되었다. 또한 1924년에 출판유통업 종사자들이 독서를 장려 하기 위하여 창설한 단체인 북트러스트(Book Trust)의 ‘책 나눠 주기(Bookgifting) 프로젝트’가 있다. 이는 자선단체이지만 출판사는 책을 기증하고 중앙정부는 사업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고 지방정부 및 학교와 도서관은 책의 배포를 담당하는 식으로 이루어지는 협업 프로젝트이다. ‘여름 독서챌린지(Summer Reading Challenge)’는 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독서운동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약 97%의 공공도서관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해당 도서관들은 어린이들이 여름방학 동안 장서 중에서 6권 이상을 읽도록 장려하고 이를 완수한 어린이들에게는 수료증을 수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 외에도 초등학교에서 학생들 에게 독서를 여가로서 즐기는 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새로 시행된 ‘북버즈(Bookbuzz)’ 프로젝트와 예비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책 한권과 학부모를 위한 독서지도 책자를 무료로 나누어 주는 ‘북타임(Booktime) 프로젝트’ 그리고 현재는 북트러스트가 전국적으로 그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입양아들을 위한 ‘우편함클럽 (Letterbox Club)’ 등의 다양한 독서운동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1998년 시애틀에서 시작한 ‘한 도시 한 책 읽기(One City One Book)’ 운동이 있다. 많은 도시 중 시카고에서 2001년부터 도서관과 함께 실시한 ‘하나의 책, 하나의 시카고’ 라는 지역 독서운동이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당시 시카고 공공도서관은 시민과 함께 읽을 책으로 『앵무새 죽이기』라는 인종문제를 다루고 있는 소설을 선정하고 리차드 데일리(Richard J. Daley) 시장이 직접 시민 참여를 호소하면서 대부분의 시민이 독서열풍에 빠지게 되었다. 시카고도서선정위원회는 ‘시민이 매일 접하는 보편적인 문제를 반영한다’는 기준 아래 ‘한 도시 한 책 읽기’ 운동을 위하여 그 기준에 따른 한 책을 선정하고 그 책을 통하여 공통의 화제를 찾아내고 도시가 지닌 공통의 문제를 시민들과 함께 생각해보는 계기로 만들어 특징적인 독서문화를 이루어 냈다.
일본의 경우 대표적으로 ‘아침독서운동’이 있다. 최초로 아침독서운동을 실시한 학교는 도쿄 가츠시카구에 위치한 가미히라이 초등학교이며, 이후 초⋅중⋅고등학교에서 독서습관을 기르기 위해 1교시 시작 전 10-15분 정도 책 읽는 시간을 갖자는 취지로 진행하고 있는 운동이다. 이는 1970년대부터 학교별 또는 담임교사별로 각지에서 개별적으로 행해져 오다가 1988년 치바의 고등학교 교사 2명의 활약으로 전국적인 운동으로 확산되게 되었다. 네 가지 원칙(① 모두 함께 읽자, ② 매일 읽자, ③ 좋아하는 책이면 된다, ④ 읽기만 하자)을 기본으로 전개 해온 이 운동은 독서 습관의 정착, 학생 독서량 증진 및 독서시간 확보라는 성공적 독서운동이 되었다.
세계의 독서운동 시작의 배경은 독서습관 또는 독서문화의 형성 등 다양하다. 그러나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등의 출현 등 디지털 정보사회로의 변화로 독서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조금씩 줄어들자 독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독서운동이 재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중국의 독서 현황으로 중국인의 독서 이유와과 독서율 및 독서량을 살피고, 독서운동 현황으로 배경과 운영방식 및 주요 활동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중국의 독서에 대한 사회적 현상 조사는 중국 뉴스출판연구원(中国新闻出版研究院)에 의하여 ‘전국국민독서조사(全国国民阅读调查)’로 이루어지며, 중국출판사이트에 공개된다. 독서 이유의 경우 1999년부터 이루어진 조사 중 1999년, 2001년, 2003년, 2008년, 2011년의 데이터가 공개되어 있으며, 독서율과 독서량의 경우 현재까지 11회에 걸쳐 이루어진 조사 중 2004년과 2006년 및 2008-14년의 조사가 공개되어 있다.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한 중국인의 독서 이유와 독서하지 않는 이유 그리고 성인과 미성년자의 독서율 및 독서량은 다음과 같다.
1999년부터 2011년까지의 13년 동안 조사된 중국인의 독서 이유와 독서를 하지 않는 이유를 정리하면
중국의 연평균 독서율과 독서량에 대하여 성인과 미성년자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중국 성인의 2003년부터 2013년까지의 연평균 독서율과 독서량을 정리하면
한편, 인터넷을 포함한 전자책의 독서량은 2011년 1.42권에서 2012년에 2.35권으로 0.93 권 증가하였으며, 2013년에는 2.48권으로 0.13권 증가하였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전자책 독서량은 각 년간 0,07권과 0.13권으로 2년간 1.06권 증가한 것에 반해 종이책의 독서량은 6년 간에 0.19권 증가한 것은 전자책의 독서량이 다소 유의하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중국 출판연구원(2013)은 전망하고 있다. 한편, 2008년 6차 조사부터 2013년 11차 조사된 공개 데이터에 근거한 중국 미성년자의 각 연령별 독서율과 독서량은
구체적으로 2013년 0-8세 유아의 독서율은 66%이며, 9-13세 어린의의 독서율은 93.5%, 14-17 세 청소년의 독서율은 79.1%이다. 이는 2012년 도의 64.5%, 96.5%, 80.5%보다 각각 1.5% 상승하였거나 3.0%와 1.4% 하락한 것으로 초⋅ 중⋅고 학생의 독서율이 다소 하락하였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2008년도의 독서율을 보면 7.23%, 9.35%, 7.0%와 같이 다른 연령대보다 유아는 6.3% 하락하였고, 청소년은 변동이 없거나 0.1% 증가하였다. 즉, 유아의 연평균 독서율은 낮아지고, 청소년의 연평균 독서율은 크게 변화가 없음을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중국 성인의 독서율과 독서량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미성년자의 독서율과 독서량은 감소하고 있으며, 2013년 성인과 청소년의 평균 독서율은 66.7%이며 평균 독서량은 5.87권이다.
중국의 독서운동의 배경과 운영방식 및 주요 활동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89년 찌앙수(江蘇)에서 지방의 독서운동으로 독서교육활동이 시작되었으나 중국의 실제적인 독서운동은 1993년부터 시작되었다 할 수 있다. 즉, 1993년 전국부녀자연합회에서 독서를 통하여 지덕체미를 갖춘 새로운 인격체로 교육할 수 있음에 주시하면서 교육사업의 하나로서 청소년독서교육을 추천하였다. 이에 중국 공산당중앙선전부(일명 중선부(中宣部)), 중앙정신문명건설지도위원회부서(일명 중앙문명부(中央文明办)), 교육부, 뉴스출판본부(新闻出 版总署), 중국관공위(中国关工委) 등과 같은 정부기관에서 적극적으로 참여 및 지지하면서 ‘애 국주의 교육’ 사업의 하나로 청소년독서교육활동이 시작되었다.
중국의 ‘애국주의 교육’은 전국민의 소질 제고를 위한 기초 사업이자 청소년의 이상, 신념, 인생관, 가치관 확립을 위한 교육사업이다. 1994년 8월 23일 중선부의 ‘애국주의교육실시강요(爱国主义教育实施纲要)’ 발표 이후 초⋅중⋅고 학생의 애국주의교육을 위한 중요 실천 방안으로 100종의 애국주의 교육도서 추천과 함께 전국 독서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청소년독서교육활동은 초기에는 일부 성(省)과 시 등에서 추진하여오다가 2005년에는 전국 20여개 성과 자치구 등이 참여하였다. 이후 2006년 정부 주도로 ‘전민독서활동’이 운영되면서 청소년독서교육활동은 주요 활동의 하나가 되었다. 4월 23일 ‘세계 책의 날’을 기준으로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현재 31개 모든 성 등에서 참여하고 있다.
중국의 전민독서활동의 운영방식은 정부의 주관, 시기별 추진과정, 주제의 선정, 필독서의 집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의 전민독서활동은 2006년부터 정부주관으로 중선부와 뉴스출판사총서가 연합으로 추진 통지를 통보하면서 시작된다. 2009년의 각 주관 정부기관과 주요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하면
시기별로 추진되는 각 정부기관의 독서활동 추진 내용에 대하여 2009년의 경우를 참조하여 정리하면
한편, 각 시 차원의 전민독서활동의 효과적 추진을 위하여 시독서활동조직위원회(市读书活动组委会)가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시위원회선전부(市委宣传部)를 선두로 시교육국, 시부연, 시뉴스출판국, 신화서점시분점 등으로 구성된다. 전체 시는 여러 차례에 걸쳐 시조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독서활동 운영 관련 세부 절차를 연구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활동 실시 방안을 규정하고 있다.
1993년 처음으로 청소년독서교육활동을 개최할 때부터 매해 주제가 선정되어 왔다. 1993년 ‘청소년애국주의독서교육활동’ 이래 선정된 주제는
주제가 정해지면 주제를 반영하는 독서자료인 필독서가 집필 및 보급된다. 특히 매년 전문 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과 중고학년, 중학생과 고등학생으로 구분하여 한 권의 필독서를 제공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필독서의 내용은 청소년 수준에 부합하게 하고, 과학적이고 지식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하며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어린이나 청소년이 쉽게 살 수 있도록 저렴한 가격으로 책정하여 왔다. 참고로 2012년의 전민독서활동의 주제는 모범 병사였던 레이펑(雷锋)을 기리는 내용으로 관련 필독서는 주제와 동일하게 『레이펑을 본받아 도덕적인 사람이 되자(学雷锋 做有道德的人)』 였다. 일예로 광시(广西) 쑹쓰시(崇左市)의 경우 전체 초중고학교에서 총 192,350권을 예약 구독하였으며, 이는 전체 시 초중고학생의 90% 이상에게 보급된 것이다.
중국의 전민독서활동은 다양한 활동으로 운영되는 데, 주요 독서활동과 지방의 독서활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이 전민독서활동을 위하여 운영 및 추진 하는 주요 독서활동은
원고모집 활동의 일예로 2008년의 경우 첫번째 단계의 중점 활동은 뉴스출판본부 도서사(图书司)와 중선부출판국 주최의 춘제(春节) 전야에 ‘한권의 양서를 읽자’ 주제의 원고 모집으로 약 두 달간 전국각지에서 2,300여 편이 수집 되었다. 우수 원고 100편이 선별되었으며, 이들 원고 대상의 도서 종류는 주로 『호루몽(红楼梦)』, 『서유기(西游记)』, 『 본초강목(本草纲目)』, 『고문관지(古文观止)』 등과 같이 오랜 기간 읽혀 온 고전 명저들이었다.
각종 활동 중 청소년 대상으로 운영되는 독서교육활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위한 추천도서목록의 지정 및 지도: 뉴스출판본부는 여름 방학 전에 대중매체를 통해 ‘청소년 100종 우수도서’를 추천 보도 하며, 청소년들이 방학 기간 중 독서를 할 수 있도록 독서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둘째, 청소년 대상 교육적 독서활동의 운영: 각 성과 시 등에서 웅변대회, 원고공모대회, 지식대회, 참관, 사회조사, 주제여름캠프, 웹상 지식대회, 대자보대회, 촬영대회, 게양의식 등의 다채로운 활동을 운영하여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 및 추진하고 있다. 일예로 쑹쓰시의 경우 2013년에 청소년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청소년 서예대회와 작은 기자의 굳 뉴스대회 등과 같은 활동을 새로이 편입하였다.
셋째, 청소년 대상 주제 특성화 독서활동의 전개: 각지에서 청소년 성향에 부합하는 다양한 주제 특성화 활동을 구축 및 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독서감상문쓰기, 웅변대회, 서예대회, 경전통독, 문예공연 등이 운영되고 있다. 1994년 이래 안훼이성은 매해 주제를 특성화하여 청소년 독서교육활동을 운영하고 있으며, 새로운 대회와 포상 등을 시도하여 2007년에 이르기까지 13년간 연인원 약 9,500만 명의 초중고학생이 참여토록 지도 운영하여 왔다.
한편, 매해 추진되는 독서활동 외에 특별한 경우에 운영되는 특별 독서활동이 있다. 2008년은 북경올림픽이 개최되던 해로서 올림픽을 주제로 하는 도서전시 및 판매회 등을 개최하기도 하였다. 즉, 기본적인 주요 독서활동 외에 특별 독서활동의 경우 당해년의 국가적 행사나 기념 일, 국가사업 및 국제행사 등을 전민독서활동과 연계하여 특별하게 개최하고 있다.
전민독서활동을 위하여 각 도시들은 자발적으로 독서절, 독서월 등과 같은 활동을 전개하는데,
한편, 농민독서절과 농가독서방 건설은 각지의 독서운동 중 농민을 위한 독서운동의 하나이다. 농민독서절 중 찌앙수의 농민독서절이 가장 대표적이며 체계적이다. 농민 독서원고모집, 농민 독서웅변, 농촌 독서스타선발, 농촌이야기 강연 등과 같은 활동을 개최하여 농민들이 책을 읽고, 실제 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농촌의 어려운 학생을 지원하여 독서생활과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또한 북경의 ‘시민독서방건설’ 사업을 계기로 농촌의 독서생활이 상당히 제고되고 있다. ‘시민독서방’은 북경시개발위원회선전부(北京市委宣传部)와 시뉴스출판국(市新闻出版局) 등의 여섯 개의 기관이 연합하여 2005년부터 추천 및 추진해 온 ‘독서익민공정(读书益民工程)’의 하나이다. 2008년말 북경시에는 이미 약 1,000개의 시민독서방이 건설되었으며, 각 독서방에는 상당한 장서와 음향 및 영상 제품 등이 구비되어 있다.
1) 1999년, 2001년, 2003년의 독서 현황은 “我国国民的读书状况及其变化” 중 표 6-1-1과 6-4-1 및 6-4-2를 참고하였으며, 2008년과 2011년의 독서 현황은 『全国国民阅读调查报告』를 참고하였다. 조사에 대한 회답은 복수응답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조사항목을 2011년의 순위별로 재편성하였다.
‘청소년애국주의독서교육활동’으로 시작되어 ‘전민독서활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중국의 독서 운동에 대한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그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중국의 독서와 독서운동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중국 독서운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적 차원의 독서운동 전개와 정부의 적극적 개입: 중앙정부뿐만 아리라 각 지방정부 차원에서 전민독서활동에 적극적 개입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종합적 운영은 전민 독서활동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지방의 다양한 운영방식 채용: 기본적인 국가차원의 운영방식에 따르되 각 성과 시에 서도 다양한 운영방식을 시도 및 추진하고 있다. 또한 각 성과 시에서 시조직위원회를 구성 하여 실현가능한 활동방안을 계획 및 추진하고 전체 독서활동 관련 진행을 조정 및 지도하고 있다.
셋째, 주제특정화 독서활동의 운영: 1993년 청소년 대상 독서교육활동 시작 당시부터 매해 주제를 선정하고 주제 관련 다양한 독서활동을 운영 및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행사와 기념일 등 관련 주제특성화 독서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넷째, 필독서의 집필과 보급: 당해년에 선정된 주제 관련 필독서를 집필하여 판매 및 기증 방식으로 보급하여 집중적으로 독서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약 90%의 초⋅중⋅고 청소 년에게 필독서를 보급하고 집중적으로 독서하도록 하고 있다.
다섯째, 다양한 내용과 형식의 독서활동의 전개: 대표적으로 원고공모, 동화이야기 대회, 영어단막극, 독서만화대회 등과 같은 다양화 활동, 각종 이색적인 심사 및 선발 활동, 도서기증 및 특별활동 등 매해 차별적으로 또는 계속 적으로 다양한 독서활동을 계획 및 운영하고 있다.
여섯째, 교육사업의 일환으로 청소년대상 독서교육활동의 전개: 청소년 독서교육활동은 중국 교육사업의 기본 사업이자 전민독서활동의 시발점이다. 청소년을 독서를 통하여 교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각종 전문 대회와 포상을 실시하여 독서를 장려하고 독서목록을 추천하고 여름 방학 주제캠프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일곱째, 지역별 독서활동과 지역문화와의 융합: 각 지역별로 독서절, 독서의 달 등을 지정하여 독서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다민족 국가로서 민족문화의 차이가 비교적 크므로 각 지역별로 독서의 성향과 독서활동 호응에도 차이가 있다. 이에 전민독서활동 전개 중 현지 시민에게 친밀한 독서활동을 운영하고 지역 문화 특징과 융합되도록 운영하고 있다.
여덟째, 농민을 위한 독서운동 운영: 농민이 전민독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별로 농민독서절 운영과 농민독서방의 건설 외에 절기의 조정, 신화서점 등의 독서기증 활동, 이동도 서판매, 신농촌 중심의 전문적 테마 독서활동 등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북경의 ‘독서인민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시민독서방건설’은 특기할 만한 사업이다.
아홉째, 도서관과 관련 학회의 참여: 문화부 부속의 중국도서관학회와 각 지방의 학회와 분회 또한 전민독서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도서관의 독서활동 홍보 전적 투입으로 2009년 7월, 중국도서관학회 과학보급및독서지도위원회(科普与阅读指导委员会)를 독서홍보위원회(阅读推广委员会)로 개명하고, 이하 전문 위원회를 6개에서 15개로 확대, 위원을 2배로 증원하는 등 독서운동 홍보에 참여하고 있다.
중국의 독서운동은 1993년부터 청소년 독서 교육활동으로 시작하여 2006년부터 정부주도의 ‘전민독서활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중국 독서운동의 가장 큰 특징은 사회적 및 정책적 차원의 종합적 접근으로, 매해 공통 주제로 전개하되 각 지역별로 새로운 활동을 시도하며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중국의 독서와 독서운동 현황과 특징을 바탕으로 분석한 중국 독서운동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운동 관리 시스템의 미흡: 중국의 전민독서활동은 1993년 청소년 독서교육활동으로 시작된 이래 23년에 이르고 있다. 2008년의 보고에 의하면 3월 초부터 실제 활동이 추진 되기 약 일주일 전까지 주로 31개, 성, 시, 자치 주의 해당 기관을 대상으로 주요 독서활동, 성공사례 등을 인터넷과 전화 및 문자를 통한 설문조사와 중점 인터뷰 등의 다중 방식으로 조사하고, 이후 뉴스출판본부 홈페이지에 공지된 다. 대부분 당해의 전민독서활동 운영을 위하여 전해의 활동을 대상으로 설문이나 인터뷰와 같은 방식으로 조사하고 조사된 내용을 대상으로 주요 활동과 특징 및 문제점 등으로 간략히 보고하므로 내용의 누락이나 평가의 부재, 메카니즘 구축의 곤란 등의 문제가 있어 보인다. 지리 적으로 광범위하고 지역별로 활동내용이 다양화 및 세분화되어 가고 있으니 해당년에 각 지역과 해당 기관에서 활동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인적자원, 독서자료, 활동의 내용과 형식, 평가, 개선점 등에 대하여 기록관리 체계를 갖추고, 주관 부서인 전민독서활동조직협조부에서 종합적으로 관리 및 보고하는 방식과 같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주제 특정과 독서자료의 한정: 매해 주제가 정해지고 중선부의 승인과 전국적 통지에 이어 주제 관련 필독서가 집필되고 보급되는 방식으로 독서자료가 한정된다. 이처럼 매해 독서자료를 정하고 판매 및 기증하는 방식은 독서습관 형성이 환경적으로 취약하고 독서 자료를 접하기 어려운 독자와 지역의 경우 도움이 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다양한 독서자료를 접하며 스스로 읽을 책을 고르고 선택하도록 하는 상황의 부재가 아쉽다. 중국의 전민독서활동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되 청소년 대상의 독서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청소년 독서교육은 지식의 생산 능력과 활용 능력,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그리고 투철한 가치관과 건전한 인성 등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므로 독서자료의 한정은전 사회의 집중적 독서에는 효율적이나 자율성과 창의력 형성에는 어느 정도 단점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독서자료의 폭 넓은 선정과 추천 및 선택 기회의 확대 및 교육 등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셋째, 지역 간 독서활동의 차이: 중국은 전국적으로 독서활동을 전개하기 때문에 각 성과 시마다의 정책, 관심, 인적 및 물적 자원 등의 영향으로 관련 행사의 전개와 분위기의 격차가 비교적 있다. 일부 형식적인 행사나 일회성 행사로 머물 여지가 있으므로 중앙정부 및 지방 정부 차원의 실제적인 실행 방안과 절차 등의 정책적 및 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독서 매카니즘의 부재: 22년을 운영하여 오면서 다양한 운영방식과 활동 및 참신한 방법을 계속적으로 시도하고 있고, 각 지방 도시마다 독서절과 독서월 등과 같이 집중적 독서활동을 계획하고 추진하고 있다. 다만 단기 적인 다양한 방법의 시도에 따른 중기 및 장기 단계의 추진 계획과 평가체계를 갖추어 전국민 독서의 장기적 효과 매카니즘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섯째, 도서관 독서활동의 미흡: 근래 들어 중앙과 지방의 도서관과 학회의 전민독서 활동 참여도 시작되었으나 특히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을 통한 독서운동의 전개가 요구된 다. 학교도서관의 경우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교과와 연계된 독서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공공도서관의 경우 지역주민의 특성에 맞는 독서환경을 제공하고 독서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독서자료를 도서관에 구비하여 다양한 독서를 하도록 유도하는 도서관 주관의 독자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섯째, 독서 관련 조력자와 전문가의 지도 및 공급 부족: 독자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가정의 부모와 학교의 교사 및 도서관의 사서와 같은 독서조력자 및 전문가의 도움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의 협력적인 지도가 제공될 때 보다 성숙한 독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영국 북스타트의 ‘Bookgifting’ 프로젝트는 어린이들에게 읽을 책을 나누어 주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부모를 위한 안내책자를 같이 배포한다. 이는 어린이들의 독서교육에 부모의 역할이 크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독서를 통해 가족 간의 친교와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독서를 가정의 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한 작업인 것이다. 특히 어린이들의 독서 교육에서 부모가 독서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매우 큰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독서조력자로서의 부모의 역할과 태도에 대해 안내 및 지도 또한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일곱째, 독서전문가 양성의 부족: 최근에 중국은 보다 효과적인 전민독서활동의 운영을 위하여 독서활동 홍보관련 담당자에 대한 지원 및 양성을 주시하기 시작하였다. 독서활동 홍보를 위한 전문가를 통한 효과적인 전민독서활동 전개 외에 독서활동을 지도할 수 있는 독서관련 전문가의 양성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특히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사서의 역량 강화로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일예로 사서 양성기관의 교과 커리큘럼의 재편성과 현직 사서의 계속 교육 및 전문 교육과 같은 방법이 권장된다.
여덟째, 독서관련 법제화의 지연: 2006년 정부 주도의 독서운동 전개 이래 중국은 2013년부터 독서정책의 일환으로 독서 관련 입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왔다. 2015년 2월 현재 일부 쟝쑤, 후베이(湖北), 선쩐 등의 지방에서 독서 관련 조례 등을 발표하였으나 중앙차원의 입법 화는 지연되고 있다. 전국적 차원으로 전개되고 있는 전민독서활동의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전개를 위하여 중앙 차원의 독서 및 독서교육 관련 법제화가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의 독서운동은 국가적 차원에서 전국 민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일부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평가 및 보안되면 중국의 전민독서활동이 보다 효과적인 독서운동으로 운영될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은 독서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1993년부터 청소년 교육활동의 하나로 ‘청소년 독서교육활동’을 전개하여 왔으며, 2006년부터 정부 주도로 ‘전민독서활동’으로 운영 및 추진 하여 왔다. 중국은 전민독서활동에 대하여 전국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많은 청소년이 참가하고, 사회적 영향력이 가장 광범위하며 교육효과가 가장 좋은 교육활동으로 자체 평가 하고 있다. 그러나 독서 현황 조사에서도 보여 주듯이 중국인의 독서하는 이유는 지식과 견문 넓히기와 같은 자기교육과 취미와 소일 및 수양을 위한 자아성취가 주요 이유라면 독서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라는 생활상의 이유와 습관과 독서 곤란이라는 개인적 이유가 주요 이유이다. 이는 즉 중국 독서운동의 가장 큰 특징으로 개별적 접근이 아니라 사회적 및 국가적 접근으로 전 사회의 집중적 독서운동의 전개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개개인의 독서습관과 독서환경 조성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독서문화 진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차원의 집중적 독서운동의 전개: 중국 독서운동의 가장 큰 특징은 국가적 차원의 집중적 독서운동의 전개라는 것이다. 우리나라 또한 1960-70년대 정부의 지도하에 대중적인 독서운동으로 ‘책 읽기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고, 2008년에는 ‘책 읽기, 정부가 나선다’라는 제목으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독서문화진흥운동을 펼쳤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는 책 읽는 사회 풍토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국민의 독서력 향상과 독서에 대한 범국민적 관심 제고를 위해 2012년을 ‘독서의 해’로 지정 운영하였다. 다만 각각 대중적인 독서문화 토대와 집중적 독서 전개에 일정의 효과를 거두었으나 일회성 운동으로 그쳐 장기적인 독서 매카니즘 형성에는 미흡할 수밖에 없다. 다양한 기관과 단체에 의하여 분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의 독서 관련 활동들을 바탕으로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독서문화진흥 프로그램이 구축 및 전개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공통 주제를 통한 집중적 독서 운동: 중국 독서 운동의 가장 큰 특징은 매해 주제를 정하고 주제관련 독서자료를 집필 및 보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미국의 성공적 독서 운동의 하나인 ‘한 책 한 도시’ 독서 운동과 어떤 면에서는 일맥상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생각된다. 청소년과 성인 등 전국민을 대상으로 매해 하나의 또는 공통의 주제를 정하고 다양한 관련 독서자료를 수준별로 선별 및 보급하여 독후감쓰기, 북토크, 토론대회 등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으로 연결하면 보다 효과적인 독서 운동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자기교육과 인성개발을 위한 청소년 독서교육: 중국은 초기부터 교육사업의 일환으로 청소년독서교육활동을 운영하여 왔으나 2013년까지의 전국국민독서조사 결과를 보면 오히려 청소년의 독서율과 독서량은 감소하고 있다. 청소년 대상 독서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경우 대체적으로 입시의 한 방안으로 변형 운영되고 있다. 이는 가정과 학교 및 학원을 통하여 다방 면으로 독서와 논술이라는 방향으로 전개되면서 많은 필수 독서자료를 읽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학습과 입시라는 분명한 목적을 지니고 있어 독서방법 습득에 그치거나 효과적이지 못 할 수도 있다는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목적성 교육과 입시의 수단보다는 독서의 즐거움을 누리면서 다양한 간접 경험으로 자기교육과 인성개발 할 수 있도록 하는 일본의 ‘아침독서운동’의 원칙처럼 그저 읽기만 하는 기본에 충실한 독서교육이 필요하리라 본다.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에 각국은 가장 아날로그적으로 글감을 읽으며 생각하도록 하는 힘을 길러주는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종 독서 운동을 구축 및 운영하고 있다. 이상으로 조사 분석한 중국 독서운동에 대한 연구가 해외 독서운동 이해의 일조가 되고 독서진흥 프로그램 구축의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1.
[journal]
김, 영석.
2004
2.
[journal]
김, 영석.
2005
3.
[thesis]
서, 창호.
2008
4.
[journal]
윤, 정옥.
2009
5.
[journal]
조, 찬식.
2013
6.
[thesis]
채, 예송.
2014
7.
[web]
8.
[journal]
徐, 道稳, 刘, 志山.
2003
9.
[journal]
孙, 勤.
2014
10.
[web]
11.
[journal]
王, 素芳, 孙, 云倩, 王, 波.
2013
12.
[journal]
章, 亦倩.
2008
13.
[web]
14. [web] http://www.cnreading.org/yddc/mtjj/2011/index.html
15.
[web]
16.
[web]
17.
[web]
18.
[web]
19. [other] Koren, Marian, Leitner, Gerald. “The Potential of National Reading Campaigns Experiences from Austria and the Netherland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IFLA Conference Proceedings
20.
[web]
21. [journal] Panozzo, Genimaree. 2002 Read All About It: the Moreland Reading Project and the UK National Reading Campaigns. APLIS 15(2) : 52 - 60
22.
[journal]
Pyper, Jane1.
2010
“Five Principles Towards a National Reading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