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Structural Differentiation in the Rapid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 Korea Real Estate Review
  • 2025, 35(1), pp.93~104
  • Publisher : korea real estate research institute
  • Research Area : Social Science > Law > Law of Special Parts > Law of Real Estate
  • Received : March 10, 2025
  • Accepted : March 21, 2025
  • Published : March 31, 2025

Kwon, Hyun Jin 1

1한국부동산연구원

Irregular Papers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상승한 건축공사비의 원인을 분석하고 구조적 차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국부동산연구원의 “건축물 재조달원가 자료집”의 표준단가를 토대로 건물 유형 및 구조별 변동 추이와 비용 구조를 검토한 결과, 건축공사비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는 ① 건설자재 가격 변동, ② 인건비 지속적 상승, ③ 건축구조별 상승 폭 차이, ④ 제도적 변화로 나타났다. 특히 철근 가격이 2016년 대비 2022년까지 2배 가까이 상승하였고 2016-2024년 기간 건설노임이 75% 이상 증가했으며, 최저임금은 63.5% 상승한 점이 주목된다. 건축구조별로는 인건비 비중이 높은 철근콘크리트조, 벽돌조가 더 높은 공사비 상승률을 보였다. 단독 일반주택의 벽돌조, 철근콘크리트조는 각각 88.1%, 82.6% 상승한 반면, 창고의 일반철골조는 23.4%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코로나 팬데믹, 러-우전쟁 등이 발발한 2020-2024년으로 조정한 분석기간에서는 예상과 달리 재료비보다 인건비로 인한 상승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2022년 하반기 이후 자재가격의 상승 둔화와 하방경직된 인건비의 특성 때문이다. 또한 건설노임단가나 최저임금 상승률보다 실제 인건비 상승률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제도적 요인 및 다른 이유로 인한 노무량 증가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으로 가격 변동성이 큰 건자재의 수급 안정책 및 인건비 관련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건설공사비 변동 구조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