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23 KCI Impact Factor : 1.02
-
pISSN : 2466-2542
- https://journal.kci.go.kr/liss
pISSN : 2466-2542
A Study on Public Information Service using Twitter - Focused on Twitters of Major Metropolitans -
1전남대학교
최근 정부부처와 자치단체에서는 새로운 공공정보 제공의 장으로 트위터를 앞 다투어 운영하고 있는 추세다. 공공정보의 의미는 법률 규정에 의하면 국가 또는 공공기관에서 생산•보유•관리하고 있는 정보이며, 공공정보 서비스란 공공부문의 생산된 정보를 가공•전달하여 시민들이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라고 정의된다. 또한, 공공정보의 의미를 정보의 소유 주체인 공공기관이나 공공부문에서 보유하거나 관리하는 정보라고 제한하는 경우와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거나 이익이 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의미하는 공익정보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공공기관에서 트위터를 이용하여 공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는 시민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즉각적인 의견수렴과 소통의 잠정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트위터는 시공간의 한계를 넘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매스미디어에 비해 보다 정보가 빨리 확산된다
그러므로 공공기관들은 다수의 트위터 팔로워를 확보하고 효과적인 공공 정보서비스를 위해 트위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어떤 정보가 시민들에게 실제로 제공되고 있고 트위터를 통해 제공 되는 정보가 시민들의 정보요구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은 공공기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전반에 관한 광범위한 내용을 기술적으로만 분석함으로써 심층적이고 의미 있는 내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외에 국내외 연구는 트위터의 영향력을 의제설정 효과에 맞추어 정치학 분야와 신문방송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였을 때 정보제공과 이용이라는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공공정보 서비스를 분석하고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서울시와 지방 광역도시의 대표 트위터들에서 제공하는 공공정보의 내용을 심층 분석•평가하고, 시민들의 질의를 통한 정보요구와 시 트위터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트위터를 이용한 공공 정보서비스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트위터는 이용자들이 140자 이내의 간단한 메시지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이다. 트위터는 2006년 Jack Dorsey, Evan Williams, Biz Stone, Noah Glass에 의해 시작 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기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트위터의 어원은 사용자들이 짧은 단문의 정보를 교환하는 행동이 새들이 재잘거리는 소리 (tweet)과 유사하다고 해서 트위터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트위터상의 정보는 팔로우를 통해 삽시간에 퍼져나갈 뿐만 아니라 리트윗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다시 전파되어 가는 위력을 갖는다. 그러므로 트위터의 영향력을 평가할 때 팔로워의 규모뿐 아니라 리트윗이나 업데이트 빈도와 같은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트위터는 정부운영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미 샌프란시스코시에서 운영하는 Myidea4ca 는 주민들의 아이디어를 받는 트위터로 매우 유명하다
국내외 트위터 이용한 공공정보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는데, 먼저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공공부문에서의 트위터 활용에 대한 연구로 한국정책연구에서 발표한 서울시의 소셜네트 워크 서비스 활용방안에 대한 보고서에서는 서울시가 미디어센터를 통해 운영 중인 트위터, 블로그 등 소셜미디어들의 현황을 분석하고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이라는 행정관리를 제안하였다
이외에도
조사 대상 도시 선정은 전국에 있는 특별시와 광역시 중에서 시 트위터를 운영하고 있는 도시들을 중심으로 지역별 균형 분배를 원칙으로 연구자가 선정하였다. 선정결과 서울, 경기, 충청, 호남, 그리고 영남에 있는 서울특별시, 인천시, 대전시, 광주시, 대구시, 그리고 부산시로 선정하였으며, 울산시는 광역도시이지만 영남지역에 이미 대구와 부산을 조사 대상 도시로 선정하여 부득이하게 조사에서 제외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될 서울시와 지방 광역도시 트위터는 서울마니아(트윗:20,732, 팔로워:51,714, 팔로잉:52,680), 인천광역시청(트윗:8,891, 팔로워:28,479, 팔로잉:30,325), 드림대전(트윗:3,928, 팔로워:16,730, 팔로잉:17,159), 광주광 역시(트윗:4,882, 팔로워:8,974, 팔로잉:9,285) 대구다채움(트윗:6,580, 팔로워:27,578, 팔로잉:26,163), 그리고 톡톡부산(트윗:35,131, 팔로워: 18,514, 팔로잉:10,622)으로 정하였다. 각 도시 트위터의 트윗, 팔로워, 팔로잉의 수치들은 내용분석을 완료한 2014년 10월에 조사한 수치이다.
주 연구방법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2014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석 달 동안의 6개 트위터에 게재되었던 내용을 모두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트위터 내용 기록 기간에 있었던 주요 사건은 세월호 침몰 (4월 16일), 제6회 지방선거 (6월 4일). 월드컵 한국경기(6월 18일, 23일, 27일) 등이 있었으며 각 도시마다 서울 지하철사고와 같은 사건이 각각 발생하기도 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은 트윗글의 내용분석을 위해 세 가지 항목(각 도시별 트위터의 트윗글, URL이 첨부된 트윗글, 리트윗글)에 대한 게재 빈도와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시민들의 질의 내용에 대한 빈도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트윗글에 대한 분석결과와 시민 질의에 대한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내용분석을 위한 코드북 제작을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와 지방 광역도시들에서 운영하는 대표 트위터들이 어떤 정보를 어떻게 자주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트윗의 내용을 모두 기록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석 기간 중 트위터의 트윗에 게재된 글은 총 1,066개였으며 부산(505개)이 가장 많은 글을 게재하여 활발히 운영되고 있었고, 다음은 서울(231개), 대구(134개), 인천(97개), 대전(71개), 광주 (28개) 순이었다. 이러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전체 트윗글 게재 수를 주별로 분석해 보았을 때 월드컵(6월 3, 4주)이 있던 주간에 모든 조사 대상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의 트윗 게재 글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부산, 대구, 광주에서 월드컵 응원에 관한 트윗글이 많이 게재되었다. 5월에는 부산, 대구, 대전 트위터의 트윗글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5월에 열린 부산, 대구, 대전의 시행사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인천시와 광주시는 세월호 침몰 주간(4월 3주,4주)에 트윗글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세월호와 관련해서는 6개 조사 대상 도시에서 모두 애도의 트윗글을 여러 번 게재하였다.
6월 첫 주에 있었던 지방선거 관련해서는 트윗글이 그다지 증가하지 않았는데, 이는 조사 대상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모두 지방선거와 관련한 트윗글은 모두 선거참여에 관한 독려의 글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트위터의 운영은 철저히 정치적인 색깔을 배제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외에도 각 도시별로 시 행사나 중요 사건이 있을 때 각각 다른 트윗글 게재의 빈도를 보였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서울 지하철역 사고(5월 1주)가 있던 주간에 트윗글이 큰 증가세를 보였다. 부산시는 다른 도시와 달리 4월 2주에 시 트윗글이 증가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부산시에서 주관하는 행사가 이때 집중되어 적극적으로 홍보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트위터를 통한 정보제공에서 중요한 방법 중 하나가 URL링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140 자까지의 짧은 트윗글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더욱 자세한 정보를 담은 웹 문서나 동영상 등을 트윗글에 URL링크를 걸어 두어두는 것은 효율적인 트위터 운영의 한 방법이다
관찰 기간 동안 서울시는 전체 231개의 트윗글 중에 147개의 트윗글에서 URL을 활용했으며 이는 전체의 64% 비중을 차지한다. 부산시는 전체 505개의 트윗글 중에 115개의 트윗글에서 URL을 활용하여 23% 활용도를 보였다. 이는 서울시의 URL 활용도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이지만 한국 평균이 13.7%
트위터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중 주목할 부분은 리트윗에 관한 부분이다. 리트윗은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트윗을 자신의 팔로워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 도시 트위터 운영자가 팔로워들의 트위글중에서 전체 시민에게 다시 전달하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이를 리트윗하여 시민들에게 전달하여 중요 정보가 확산되도록 한다. 하지만 리트윗을 위해서는 다른 팔로워들의 글을 수시로 살펴야 하므로 운영상의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각 도시 트위터들의 리트윗 현황을 보면 부산(7개), 서울(5개), 대구(5개) 등으로 모든 도시에서 리트윗의 활용이 아직 미비함을 알 수 있다.
서울시와 지방 광역도시들에서 운영하는 대표 트위터들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내용을 분석•평가하였다. 먼저 각 도시의 트윗글(1066개)을 코딩북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전체 트윗글 중에 가장 많은 제공되었던 트윗은 시민의 생활 편의•여가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217개)였다. 다음으로는 시에서 열리는 관련 행사들 안내하는 시행사 안내 정보(141개), 시 활동 관련 공모 정보(116개), 시에서 제공하는 민원을 포함한 서비스정보(105개), 인사와 유머(91개), 문화•체육관련 행사 안내정보(77개), 관광이나 맛집에 대한 정보(69개), 교통속보나 교통 상황에 대한 안내정보(55개) 등의 순으로 정보가 제공되었다. 특히 세월호 침몰과 관련하여 희생자들에게 애도를 표하거나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트윗글(60개)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각 도시의 트위터는 시민들을 위한 생활정보와 시행사 안내에 관한 정보를 많이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도시별로 다시 분석해보면 각 도시 트위터의 운영 성격에 따라 조금씩 다른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서울시의 경우에는 생활정보(69개), 서비스안내(38개), 공모(27개)의 순이었다. 부산시의 경우 시행사 안내(94개)가 다른 도시들보다 월등히 많았으며, 인사•유머 (61개), 공모(57개) 등의 순이었다. 부산시의 경우 다른 도시들에 비해 시의 트위터 운영자가 시민들에게 안부성 인사를 전하는 글이 많았다. 대구시는 생활정보(44개), 관광•음식 (16개), 공모(12개) 순으로 정보가 제공되었다. 대구시의 경우 관광•음식에 관한 정보제공의 비율(12%)이 높았다. 인천은 생활정보(30개)와 애도(15개)의 정보가 주를 이루었고, 대전은 생활정보(22개)와 시행사 안내(9개) 정보를, 광주는 애도 (6개)와 시행사 안내(4개) 등의 정보가 제공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조사 대상 도시의 트윗글 1066개 중에서 URL링크가 있는 트윗글은 449개로 42%를 차지하였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생활정보(URL링크 129개, 59%), 공모(URL링크 67개, 58%), 서비스 안내(URL링크 57개, 54%), 관광·음식(URL링크 32개, 46%) 순으로 URL링크를 통한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도시별로 URL링크가 많이 제공된 정보를 살펴보면 서울시에서 다른 도시들보다 많은 항목에서 URL링크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생활정보(46개), 서비스안내(29개), 공모(21개), 관광·음식(13개)의 항목에서 시민들에게 URL링크를 통한 자세한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부산시는 다른 도시와 다르게 공고(21개) 관련 정보에 가장 많은 URL링크를 제공하였고, 생활정보(20개)와 관광음식(15개) 순이었다. 대전시는 거의 모든 트윗글에 URL링크가 있었지만, 특히 생활정보(21개)와 시행사 안내(10개)에 집중되었다. 인천시는 생활정보(20개)와 공모(10개)에 URL링크를 많이 사용하였다. 대구시는 URL링크를 그다지 활용하지 않았는데, 생활정보(21개), 시행사 안내(5개) 등에 URL링크를 사용하였다. 광주시는 공모(3개), 시행사 안내(2개)를 위한 정보에 URL링크를 사용하였다.
각 도시 트위터의 리트윗 활용이 미비하여 전반적인 분석에 어려움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분석해 볼 때 전체 20개의 리트윗 중에서 가장 많은 리트윗을 통한 정보제공은 트윗정보의 내용분석과는 다르게 관광·음식(40%)이었으며, 교통(20%), 생활정보(20%), 시행사(10%), 서비스안내(5%), 치안/안보/공사(5%)의 순이었다.
시민들이 시 트위터에 필요한 정보나 민원에 대해 질의를 하면 시 트위터 운영자는 시민들에게 리플라이를 하여 시민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시에서 리플라이한 내용은 트위터에 공유되므로 시민들은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6개 도시 트위터에 대한 3개월간의 내용 수집을 통해서 수집된 시민 질의 수는 85개였다. 도시별로 보면 부산시(45개), 서울시(25개), 대전시(7개), 대구시(4개), 광주시(4개) 순이었다. 주요 질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생활정보(27%), 교통(17%), 치안·안보·공사(11%)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
도시별로도 시민 질의의 내용이 차이가 있었는데, 부산시민들은 생활정보(14개)와 공모(6개)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였으며, 서울시민들은 교통(9개)과 생활정보(5개), 치안·안보·공사(5개)에 대한 질의가 많았다. 대구시민들과 광주시민들은 교통 관련 질의가 있었고, 대전 시민들은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6개 도시의 트위터에서 제공되는 전체 트윗글과 시민 질의의 내용을 비교하였을 때 생활정 보에 대한 트윗글은 시 트위터에서도 가장 많이 제공되었고 시민들의 질의도 많았다. 하지만 시민들이 관심 있어 하는 교통과 치안·안보·공사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트윗글의 게재가 적었다. 특히 부산시는 시행사 안내에 대한 트윗글이 많았지만, 시민들의 질의는 생활정보와 공모에 집중되었다. 서울시는 생활정보에 대한 트윗글이 많았으나 시민들은 교통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요구하였다. 시민 질의가 많았던 교통과 치안·안보·공사 관련 정보에 대한 URL링크 활용 또한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지방 광역도시의 대표 트위터들에서 제공하는 공공정보의 내용을 심층 분석•평가하고, 시민들의 질의를 통한 정보요구와 시 트위터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더 나은 공공 정보서비스를 위한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트위터상의 정보게재에 대한 빈도수 분석에서 부산시가 가장 많은 트윗글을 게재하며 시트위터를 가장 활발히 운영하고 있었다. 주별 빈도 분석에서 각 도시별로 중요한 시 행사나 사건이 있었을 때 각각 다른 트윗글의 빈도를 보였는데, 예를 들어 서울의 경우 서울 지하철역 사고(5월 1주)가 있던 주간에 트윗글이 큰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공공 부분에 있어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시민에게 빠르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트위터의 활용 가능 성을 보여준 경우이다. 그 외에도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었던 월드컵이 있던 6월 3, 4주에는 모든 조사 대상 도시의 트윗글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트윗글에 보다 자세한 정보를 담은 웹 문서나 동영상 등의 URL링크를 걸어 두는 방법은 트위터상의 짧은 정보제공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으로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와 대전시가 URL링크 활용도가 높았지만, 부산시나 대구시는 URL링크 활용에 적극적 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리트윗에 대한 분석에서, 리트윗이 트위터의 영향력을 확대할 좋은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각 도시의 리트윗 활용도는 아직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트위터에서 제공되는 공공정보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전체 트윗의 내용분석 결과로 각 도시의 트위터는 시민들을 위한 생활정보와 시행사 안내에 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각 도시별 트윗글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트위터의 운영 성격에 따라 각도시에서는 조금씩 다른 정보제공의 행태를 보였다. 예를 들어 서울시, 대구시, 인천시, 대전시의 경우에는 생활정보에 대한 트윗글이 가장 많았고, 부산시는 시행사 안내, 광주는 애도에 관련된 트윗글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이한 점은 부산시의 경우 트위터 운영자가 시민들에게 안부성 인사를 전하는 글이 많았고, 대구시의 경우 관광•음식에 관한 정보제공의 비율이 높았다. 조사 대상 도시들의 URL링크를 제공하는 트윗글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는 전체적으로 생활정보, 공모, 서비스 안내, 관광•음식순으로 URL링크를 통한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리트윗을 활용한 정보제공은 관광•음식, 교통, 생활정보의 순이었다.
트위터에서 제공되는 공공정보와 시민 질의와의 전반적인 비교를 하였을 때, 시민 질의가 많았던 생활정보에 관련된 정보는 시 트위터에서도 많이 제공되고 있었지만, 시민들의 일상과 직접 관련되는 교통과 치안•안보•공사에 대한 트윗글이 적었던 점은 앞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점이다. 또한 각 도시별로 주요 트윗글과 시민 질의 내용에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시 트위터 운영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각 도시의 트위터들은 시민의 생활에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와 실시간으로 추가되는 정보를 수록하여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하지만 서울과 부산의 트위터에 비해 다른 도시들은 전체 빈도수나 정보 제공의 내용을 보았을 때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보였다. 또한, 각 도시 운영과 시민생활을 위한 유용한 정보제공과 더불어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제공에도 더욱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는 신속한 정보 제공과 의미 있고 질 높은 정보를 엄선하여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트위터 운영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더 나은 정보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개선점과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내용분석의 결과 트위터를 통해 서울시와 광역도시들이 비중 있게 제공하는 정보와 시민이 알고 싶어 하는 정보와는 서로 차이가 있었다. 공공기관의 트위터는 시민들이 알고 싶어 하는 정보제공에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고, 보다 양질의 정보를 제공을 위해 정보의 품질을 관리하는 정보 필터링 과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URL링크와 리트윗 활용에 노력해야 한다. 연구결과 특히 리트윗에 대한 활용도가 무척 낮았는데, 이는 리트윗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와 활용도가 전적으로 시 트위터 운영자 에게 달려 있음에 기인한다. 시 트위터 운영자가 다른 기관의 트위터나 팔로워들의 트위터를 살펴보고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트윗글 중 가치 있거나 시민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리트윗하여 게재할 수 있을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많은 수의 팔로워를 확보해야 한다. 팔로워의 수로 단순히 트위터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팔로워들이 트윗글을 리트윗하여 정보가 실시간으로 급속히 확산시킬 수 있는 만큼 트위터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팔로워의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시에서는 시민들의 트위터 계정가입을 시의 홈페이지나 블로그, 미디어홍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알리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시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시민의 생활에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와 실시간으로 추가되는 정보를 수록하여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트위터의 장점을 알려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 트위터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 행사/서비스/공모 등과 같이 시간적 개념이 중요한 정보를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트윗할 필요가 있다. 이는 홈페이지나 블로그에서 관련 정보를 보지 못했을 경우라도 트위터를 통해 시민들에 주지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트위터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질적 평가와 시민들의 공공정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방법을 좀 더 정교화하여 다른 공공기관이나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트위터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은 정보수용자가 쉽고 빠르게 공공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수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 할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가 될 것이다.
1.
[journal]
김, 유정, 조, 수선.
2012
2.
[other]
김, 예린, 정, 영미.
2010
3.
[journal]
김, 지은, 노, 영희.
2013
4.
[journal]
김, 형아, 배, 광빈, 최, 봉.
2011
5.
[journal]
변, 회균, 조, 현양.
2013
6.
[journal]
신, 호경, 신, 지명, 이, 호.
2011
7.
[journal]
오, 의경.
2012
8.
[journal]
이, 강호.
2010
9.
[journal]
이, 원태, 차, 미영, 양, 해륜.
2011
10.
[journal]
이, 재진, 김, 우식.
1999
11.
[journal]
장, 덕진, 김, 기훈.
2011
12.
[journal]
장, 우영, 류, 석진.
2013
13.
[journal]
조, 창환, 조, 창환.
2011
14.
[journal]
조, 태종, 윤, 혜정, 이, 중정.
2012
15.
[book]
천, 대윤.
1984
16.
[journal]
최, 영균.
2010
17.
[journal]
Cha, Meeyoung, Cha, Meeyoung.
2010
“Messuring User Influence in Twitter: The Million Follower Fallacy.”
18. [other] Diakopoulos, Nicholas A., Shamma, D. A.. 2010 “Characterizing Debate Performance via Aggregated Twitter Sentiment.”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195 - 1198
19.
[journal]
Dickey, Michael, Dickey, Michael.
2007
“Do You Read Me?: Perspective Making and Perspective Taking in Chat Communications.”
20.
[journal]
Golbeck, Jennifer, Grimes, J. M., Rogers, A..
2010
“Twitter Use by the U.S.Congress.”
21.
[journal]
Heverin, Thomas, Zach, L..
2010
“Twitter for City Police Department Information Sharing.”
22.
[journal]
Jansen, Bernard J., Jansen, Bernard J..
2009
“Twitter Power: Tweets as Electronic Word of Mouth.”
23.
[journal]
Tumasjan, Andranik, Tumasjan, Andranik.
2011
“Election Forecasts With Twitter: How 140 Characters reflect the political landscape.”
24.
[journal]
Byeon, Hoi-Kyun, Cho, H..
2013
“A Study on the Using of Social Network Services Libraries in Korea.”
25.
[journal]
Chang, Dukjin, Ghim, G..
2011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Korean Twitter Network.”
26.
[journal]
Chang, Woo-young, Lew, S..
2013
“The Political Effect of Social Network Campaign:Tweeter Big Data Analysis of the 19th National Election.”
27.
[book]
Cheon, Dea-Yoon.
1984
28.
[journal]
Cho, Chang Hoan.
2011
“Analysis of Twitter Usage -Twitter Influence and Corporation Usage.”
29.
[journal]
Cho, Tae-Jong, Yun, H., Lee, C..
2012
“Twitter and Retweet Context: User Characteristics and Message Attributes of Twitter for PR and Marketing.”
30.
[journal]
Choi, Young-kyun.
2010
“The Practice and Strategy of Social Media as Marketing Tool.”
31.
[journal]
Kim, Hyeong-A, Bea, K., Choi, B..
2011
“Analysis of the Network Structure of Seoul Twitter and Political Implication.”
32.
[journal]
Kim, Ji Eun, Noh, Y..
2013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Library SNS Marketing
33. [other] Kim, Ye-Rim, Jung, Y.. 2010 “A Case Study on Using Micro-Blogging in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Focuses on Twitter.” Proceedings of Summer Conference on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81 - 88
34.
[journal]
Kim, Yoojung, Joe, S..
2012
“A Meta-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 Research in Communications.”
35. [journal] Lee, Kang-Ho. 2010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witter According to Its Application Type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18(1) : 279 - 297
36.
[journal]
Lee, Jae-Jin, Kim, W..
1999
“A Study on Policy for Exploiting Public Information in Private Sector.”
37.
[journal]
Lee, Wontae, Cha, M., Yang, H..
2011
“Network Properties of Social Media Influentials: Focusing on the Korean Twitter Community.”
38.
[journal]
Oh, Eui-Kyung.
2012
“The Study on the Activa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Utilizing Twitter.”
39.
[journal]
Shin, Ho-Kyoung, Shin, J., Lee, H..
2011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formation Sharing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