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23 KCI Impact Factor : 1.68
-
pISSN : 1738-463X / eISSN : 2734-0112
- https://journal.kci.go.kr/schooljr
pISSN : 1738-463X / eISSN : 2734-0112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xiety and Social Capital: Double-Mediating Effects of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Koo, Hoon Jung 1, Kwon, Jung-Hye 1, Yang, Eunjoo 1
1고려대학교
사회자본이란 상호적 관계의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이나 집단이 축적한 실제적 혹은 가상의 대인관계 자원의 총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존감이나 삶의 만족과 같은 심리적 안녕감에 중요한 요소로 밝혀져 있다
그렇다면, 면대면 대인관계 상황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도 온라인 의사소통이 사회자본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을까?
사회불안장애란, 사회적 상황에 대한 공포와 불안, 그로 인해 발생하는 두려워하는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주목받는 상황이나 자신의 신체 증상이 노출되는 상황에 대하여 끊임없이 걱정하고 두려워하기 때문에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면대면 사회적 네트워크 속에서 대인관계를 맺고 이를 통해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데의 어려움을 유지시키는 요인으로는 낮은 의사소통유능감이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의사소통유능감(Communication Competence)이란, 개인이 스스로 지각하는 자신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말한다. 인간은 대인 의사소통 행위를 통하여 관계를 시작, 유지, 발전시켜 나가며 종료시키게 되는데
그렇다면,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온라인 의사소통 환경에서 보다 다른 경험을 한경우에는 어떨까?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오프라인과 다른 온라인 의사소통 경험을 한 이후에도 여전히 의사소통에의 유능감을 경험하는데 어려움을 보일까?
온라인 의사소통환경은 오프라인 의사소통 환경과 다른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시각적, 청각적, 및 맥락적 단서가 제한되어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온라인 의사소통 환경에서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지각 혹은 거절이나 거부단서에 대해 덜 염려하고 덜 불안해하게 되며
이렇듯 면대면 상호작용환경과 달리 온라인 상호작용환경이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의사소통에 대한 유능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면,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자본을 좀 더 쉽게 형성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사회불안과 온라인 의사소통을 통한 사회관계 자본 형성에의 관계는 그다지 희망적이지 않은 것 같다. 실제 다수의 연구를 살펴보면(Kraut, Kiesler, Boneva, & Cummings, 2002;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오프라인에 비해 보다 통제 가능한 공간인 온라인 의사소통 환경에서도 여전히 의사소통에의 유능감을 획득하지 못하며 회피적인 모습을 보이고 나아가 사회자본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의 독특한 인지적 특성이 이에 대한 해답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우선,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자기 제시(self-presentation)나 인상관리(impression management)에 대한 동기가 더 높다
온라인 의사소통 환경은 오프라인 의사소통 환경에서보다 자기 제시 행동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얻을 수 있어 인상관리를 위한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자기불일치의 극대화 경험은 의사소통 유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수줍음, 외로움 등의 성격에 대한 인지-사회학습 접근(cognitive-social learning approach)에 의하면
자기불일치(self-discrepancy)란, 실제적 자기와 자기 혹은 타인이 그 사람에게 도달하기 바라는 이상적 상태 혹은 의무적 상태와 맞지 않는 조건일 때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불일치가 커지게 되면, 다양한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된다. 이를테면, 실망, 불만족감, 슬픔 등의 부정적 정서
이러한 자기불일치 경향성은 사회불안이 증가할수록 커질 것이며, 온라인에서의 자기와 오프라인에서의 자기의 불일치가 커질 경우, 이는 결국 의사소통에의 유능감을 저하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반대의 주장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사회불안이 증가할수록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 경향성이 더욱 증가될 것이며, 사회불안에 의해 촉발된 온-오프라인자기불일치는 의사소통유능감을 저하시킴으로서 사회관계 자본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에 기반한 연구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불안과 온라인 의사소통의 사회자본형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청소년기는 가족관계를 넘어서 대인관계가 또래 관계로 급격하게 확장되는 시기일 뿐 아니라
종합하면, 본 연구의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재, 사회불안이 증가할수록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가 증가할 것이다. 둘째,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가 증가할수록 의사소통유능감은 감소될 것이다. 셋째, 의사소통유능감이 감소되면 사회자본형성 역시 감소될 것이다. 넷째,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 유능감은 사회불안과 사회자본형성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대인관계 양상에 관한 청소년들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3차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는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2차는 2012년 8월에, 3차는 2013년 3월에 실시되어 총 3년에 걸쳐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4세에서 17세까지의 청소년 6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이 중 327명만이 2차와 3차 자료 수집에 참여하여 최종적으로 327명의 자료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은 교사와의 동의하에 수업 중 연구 참여에 대한 설명과 함께 설문지 및 동의서를 배부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경우에 한해 지정된 장소로 작성된 설문지와 동의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인터넷 사용 양상은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를 대인관계 측면에서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척도 형식은 ‘어느 쪽도 아니다’를 중심 ‘0’으로 양방향 4점으로 평정하게 되어 있다. 각각의 질문지에 제시된 문장에 문항별 형용사를 대입해 점수를 평정하게 한 후, 각 하위요인에서 ‘주장’ ‘사교’ ‘친절’의 긍정문항을 중심으로 채점하였다. 온라인/오프라인 자기개념 불일치는 온라인 자기개념의 각 하위요인 척도 점수에서 오프라인 자기 개념의 각 하위요인 점수를 빼는 방식으로 불일치 값을 산출한 뒤, 산출된 값을 절대값 처리하였다. 절대값 처리의 이론적 근거로는 자기 일치성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제안된
의사소통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료의 기본적인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을 이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Amos 18.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시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모형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여러 가지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는데, 기존연구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을 매개로 사회자본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앞서 가정된 가설들에 따라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내포하는 내재모형(nested model)로서 대안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은 사회불안이 온-오프라인 자기 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을 부분 이중매개로 하여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모형을 가정하였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회불안은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를 부분매개하여 의사소통유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불일치는 다시 의사소통 유능감을 부분매개하여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설정하였다. 즉, 연구모형은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가 증가하고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는 의사소통유능감을 저하시켜 사회자본형성에 부적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잘 반영하는 부분매개모형1을 가정하였다(
1)
2)
사회불안과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 의사소통 유능감, 및 사회자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격적인 가설 검증에 앞서, 측정 모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체 잠재요인이 모두 들어간 전체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했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회불안은 2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불일치의 경우 앞서 언급했듯 4요인으로 구성되어있으나, 본 연구에서 ‘순응’ 하위요인이 자기불일치 잠재변수에 묶이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3요인으로 측정변수를 구성하였다. 사회자본은 친밀감과 연결망 중심 사회 자본 하위요인으로 묶었다. 의사소통유능감의 경우 1개의 요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해당 척도의 문항들을 무선적으로 묶는 문항꾸러미(item-parceling) 방식을 통해 측정변인을 구성하였다. 전체변인들을 포함한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측정모형이 타당하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가정한 변인들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는 데 있어, 하나 이상의 모형이 경험적인 자료에 적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경쟁적인 모형을 설정하여 비교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Breckler, 1990).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연구 가설을 가장 잘 반영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변인들의 관계를 제안모형으로 설정하고, 대안 모형을 설정해 모형들의 적합도를 비교함으로써 최종 모형을 선택하였다. 우선, 연구모형과 대안모형 중 설명력이 더욱 우수하고 간명한 모형을 선정하기 위해 두 모형에 대한 적합도 지수 비교와
다음으로, 연구모형의 모수추정치를 통해 본 각 변인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불안과 사회자본형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온-오프라인에서의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온라인에서의 이상적 자기 모습에 대한 자기제시 및 인상관리 시도가 높아지며 이것이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의 유능감 저하를 촉발시킨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들 변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이 증가할수록 온-오프라인 자기 불일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온라인에서 자신을 긍정적이고 이상적인 모습, 즉 더 사교적이고, 친화적이며 주장적인 모습으로 제시하는 경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불안이 증가할수록 의사소통유능감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회불안은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의 매개변인을 통해서도 의사소통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으로 인해 촉발된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는 사회자본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매개변인인 의사소통유능감의 저하를 통해서도 사회자본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불안은 사회자본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이중매개변인인 온-오프라인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 유능감을 통해서도 사회자본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즉,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온-오프라인에서의 자기 불일치가 증가하며, 이는 의사소통유능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사회자본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사회불안이 높은 경우,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자기 모습의 불일치가 증가하고 이는 의사소통유능감의 저하를 초래하여 사회자본 형성에의 어려움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면대면 대인관계에서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사람들에게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상황이 대인관계의 욕구와 부족함을 채우기 위한 적절한 의사소통 채널 즉 의사소통의 기능적 대체물이 될 수 있다고 본 사회보상가설(social compensation hypothesis)을 주장한 연구자들과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그렇다면, 앞서 언급했던 하이퍼퍼스널모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정상집단에게서 나타나는 온라인에서의 긍정적 자기제시에 따른 자존감 및 유능감 상승효과가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못하고 오히려 사회자본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편향 즉, 해석편향을 그 원인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부익부 빈익빈 가설 자체만으로는 면대면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어떤 심리적 기제나 과정을 통하여 온라인에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검증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으나,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불안이 높은 청소년들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사회자본 형성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원인과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불안이 높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활용을 위한 교육 시에도 교육 및 치료적 함의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첫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개입하기에 앞서 우선 개인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기불일치 수준을 이해하고 관리해야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개인의 오프라인에서 나타내는 사회적 자기와 온라인에서 제시하는 사회적 자기 간의 차이가 덜 나도록 온라인상에서의 자기 제시(self-presentation)를 조절하여 그들 간의 불일치를 줄임으로써 부정적 정서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오프라인 상에서의 실제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고 수용하거나 또는 실제 자신의 모습의 변화를 위해 노력함으로써 자신의 내부에 있는 자아상의 불일치 정도를 낮추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오프라인에서의 실제적 자기와 온라인에서의 이상적 자기간의 불일치를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은 실제적 자기에 영향을 주는 행동 수행을 수정하거나 행동 수행에 대한 해석을 수정하는 것이다. 실제적 자기를 변화시키는 대신에 이상적 자기의 수준을 현실에 맞게 낮추는 것이 자기불일치를 줄여 심리적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주관적 웰빙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가 일부 지역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바, 전체 청소년의 특성으로 일반화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될 것이다. 둘째, 대상자들이 사용하는 온라인의 매체를 특정 매체로 제한하거나 구분하지 않고 온라인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을 모두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다는 점이 제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온라인 매체는 매우 다양하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페이스 북이나 카카오스토리와 같은 프로필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경우 지인을 중심으로 사적인 자기를 드러내는 곳으로 특성화되고 있는 반면, 트위터와 같은 소셜네트워크서 비스 같은 경우에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의견을 주로 드러내는 공간으로 그 매체에 따른 성격이 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친밀한 대상과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되는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는 비교적 친밀한 대상과의 주제의 대화가 주로 오가는 반면, 네이버블로그나 다음 블로그와 같은 개방형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매체의 특성에 따른 이용자들의 이용 패턴이나 그에 따른 자기제시양상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므로, 본 연구의 변인들 간의 관계 역시 매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바, 추후 연구를 통해 매체 특성에 따른 본 연구 결과의 재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성인들과 달리 대부분의 청소년들의 경우 메신저나 프로필 기반 서비스의 이용률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 연구 결과를 이러한 매체 특성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사회불안집단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대상을 구분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온라인에서 기존에 알고 있던 사람보다 낯선 사람에게 자기 개방을 함으로서 친밀감을 경험하게 된다는 주장과 반대로 낯선 사람에게 자기 개방함으로서 친밀감을 경험하게 된다는 주장에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은 점
넷째, 연구대상자의 높은 탈락율(attrition rate)이 또 다른 본 연구의 제한점이다. 종단연구의 특성상 연구대상자의 탈락은 불가피하기는 하나 본 연구의 경우 52%의 높은 탈락율을 보이고 있는 바 이는 본 연구 결과의 외적타당성을 저해시키는 중요한 제한점이라고 여겨진다. 추후 종단 연구에서는 이러한 높은 탈락율을 미리 예상하고 이러한 높은 탈락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선정하여 탈락집단과 유지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는 연구 설계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종단연구 방법에서 인과관계를 보다 정확하고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time 1에서의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 유능감’이 time2에서의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에 미친 영향력을 공변인으로 설정함으로서 time1 변인인 ‘사회불안’에 의해 변화되었는지 혹은 time1에서의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의 초기치 값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 변인을 2차 시기에만 측정하여 이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할 수 없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각 시점 모두에서 변인들을 측정하여 이들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함으로서 인과 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히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여섯째,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고 자신의 수행결과에 대하여 낮게 평가하는 인지 편향 경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사회적 자본 역시 의사소통 유능감이나 온라인-오프라인에서의 자기 제시와 같이 자기 보고적 검사로 측정되었다는 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 ‘주관적으로’ 평가절하하거나 부정적으로 왜곡하여 보고된 사회자본 수준이 실제로는 높은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준의 친밀감 및 연결망 사회자본 형성을 형성하였을 가능성이 있을 것이며, 그렇다면, 이에 미치는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의 인지적 특성이 또 다른 조절 변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의 사회자본 지각수준에 미치는 다양한 인지적 조절변인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사회자본의 경우 온라인 사회자본과 오프라인 사회자본으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볼 때, 이를 구분하여 측정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자본을 각각 측정함으로서 온 오프라인에서의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회자본 각각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 흥미로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1차시기에 개인차 변인을 측정하고, 2차 시기를 통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이라는 매개변인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종속변수인 사회자본을 3차 시기에 측정함으로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인과관계 가설에 따라 설정한 변인들의 관계를 횡단적 자료를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는 제한점을 극복하였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다고 여겨진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사회불안이라는 개인차 특성이 사회자본형성과정에 이르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심리적 기제와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로 하여금 ‘사람들과 의사소통하고 사회자본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으로 인식되는 온라인에서의 혜택과 가능성을 누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적 지침 및 예방과 치료적 방향을 제공해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1.
[thesis]
강, 교민.
(2011)
2.
[journal]
권, 정혜, 우, 성범, 육, 설아, 조, 현.
(2012)
3.
[journal]
김, 구.
(2010)
4.
[journal]
김, 영수, 신, 희천.
(2012)
5.
[thesis]
서, 수균.
(1996)
6.
[journal]
오, 경자, 양, 윤란.
(2003)
7.
[journal]
이, 수란, 이, 동귀.
(2008)
8.
[journal]
이, 정윤, 최, 정훈.
(1997)
9.
[journal]
정, 남운.
(2005)
10.
[journal]
한, 빛나, 박, 기환.
(2013)
11.
[journal]
홍, 세희.
(2000)
12.
[journal]
Anders, S. L., Tucker, J. S..
(2000)
Adult attachment styl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13.
[journal]
Ando, R., Sakamoto, A..
(2008)
The effect of cyber-friends on loneliness and social anxiety: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selfevaluated physical attractiveness groups.
14.
[journal]
Amichai-Hamburger, Y., Wainapel, G., Fox, S..
(2002)
“On the Internet No One Knows I'm an Introvert”: Extroversion, Neuroticism, and Internet Interaction.
15.
[book]
Applegate, J. L., Leichty, G. B..
(1984)
Manag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cognitive and strategic determinants of competence.
16. [book] Arkin, R. M., Lake, E. A., Baumgardner, A. H.. (1986) Shyness and self-presentation. In Shyness 189 - 203 Springer US
17.
[journal]
Arroyo, A., Harwood, J..
(2011)
Communication competence mediates the link between shyness and relational quality.
18.
[journal]
Bargh, J. A., McKenna, K. Y., Fitzsimons, G. M..
(2002)
Can you see the real me? Activation and expression of the “true self” on the Internet.
19.
[journal]
Buhrmester, D., Furman, W., Wittenberg, M. T., Reis, H. T..
(1988)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20.
[journal]
Caldwell, M. A., Peplau, L. A..
(1982)
Sex differences in same-sex friendship.
21.
[journal]
Caplan, S. E..
(2005)
A social skill account of problematic Internet use.
22.
[book]
Dominick, J. R., Messere, F., Sherman, B. L..
(1999)
23.
[journal]
Donath, J. S.,, boyd, d..
(2004)
Public displays of connection.
24.
[journal]
Dunn, R. A., Guadagno, R. E..
(2012)
My avatar and me-Gender and personality predictors of avatar-self discrepancy.
25.
[journal]
Eisler, R. M., Hersen, M., Miller, P. M., Blanchard, E. B..
(1975)
Situational determinants of assertive behaviors.
26.
[journal]
Ellison, N., Heino, R., Gibbs, J..
(2006)
Managing impressions online: Self presentation processes in the online dating environment.
27.
[journal]
Ellison, N., Steinfield, C., Lampe, C..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28.
[journal]
Erwin, B. A., Turk, C. L., Heimberg, R. G., Fresco, D. M., Hantula, D. A..
(2004)
The Internet: home to a severe population of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29.
[journal]
Finch, J. F., West, S. G..
(1997)
The investigation of personality structure: Statistical models.
30.
[journal]
Giordano, P. C..
(2003)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31.
[journal]
Goby, V. P..
(2006)
Personality and online/offline choices: MBTI profiles and favored communication modes in a Singapore study.
32.
[journal]
Gonzales, A. L., Hancock, J. T..
(2011)
Mirror, mirror on my Facebook wall: Effects of exposure to Facebook on self-esteem.
33. [book] Goossens, L., Marcoen, A.. (1999) Adolescent Loneliness, Self-Reflection, and Identity: From Individual Differences to Developmental Processes. Lonelines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225
34.
[journal]
Gormally, J..
(1982)
Evaluation of assertiveness: Effects of gender, rater involvement, and level of assertiveness.
35.
[journal]
Guerrero, L. K..
(1994)
“I'm so mad I could scream:” The effects of anger expression on relation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36.
[book]
Heimberg, R. G., Becker, R. E..
(2002)
37.
[journal]
Helliwell, J. F. K., Putnam, R. D. K..
(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38.
[journal]
Hertel, G., Schroer, J., Naumann, S..
(2008)
Do Shy People Prefer to Send E-Mail?
39.
[journal]
Higgins, E. T., Klein, R., Strauman, T..
(1985)
Self-concept discrepancy theory: A psychological model for distinguishing among different asp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40.
[journal]
Higgins, E. T., Bond, R. N., Strauman, T..
(1986)
Self-discrepancies and emotional vulnerability: how magnitude, accessibility, and type of discrepancy influence affect.
41.
[journal]
Higgins, E. T..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42.
[journal]
High, A. C., Caplan, S. E..
(2009)
Social anxiety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during initial interactions: Implications for the hyperpersonal perspective.
43.
[book]
Jones, W. H., Rose, J., Russell, D..
(1990)
Loneliness and social anxiety. In
44.
[journal]
Kashdan, T. B., Herbert, J. D..
(2001)
Social anxiety disorder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45.
[journal]
Krämer, N. C., Winter, S..
(2008)
Impression management 2.0: The relationship of self-esteem, extraversion, self-efficacy, and self-presentation within social networking sites.
46.
[journal]
Kraut, R., Kiesler, S., Boneva, B., Cummings, J., Helgeson, V., Crawford, A..
(2002)
Internet paradox revisited.
47.
[journal]
Leary, M. R., Kowalski, R. M..
(1990)
Impression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and two-component model.
48.
[book]
Leary, M. R., Kowalski, R. M..
(1995)
The self-presentation model of social phobia.
49.
[book]
Lenhart, A., Purcell, K., Smith, A., Zickuhr, K..
(2010)
50.
[book]
Maccoby, E. E..
(1998)
51.
[journal]
MacKinnon, D. P., Lockwood, C. M., Hoffman, J. M., West, S. G., Sheets, V..
(2002)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52.
[journal]
Markus, H..
(1977)
Self-schemata and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self.
53.
[journal]
McCroskey, J. C., Richmond, V. P..
(1990)
Willingness to communicate: Differing cultural perspectives.
54.
[journal]
McKenna, K. Y. A., Green, A. S., Gleason, M. E. J..
(2002)
Relationship formation on the Internet: What’s the big attraction?
55.
[journal]
Mendlowicz, M. V., Stein, M. B..
(2000)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anxiety disorders.
56.
[journal]
Mischel, W..
(1973)
Toward a cognitive social learning reconceptualization of personality.
57.
[journal]
Montgomery, R. L., Haemmerlie, F. M., Edwards, M..
(1991)
Social, personal, and interpersonal deficits in socially anxious people.
58.
[journal]
Pavot, W., Fujita, F., Diener, E..
(1997)
The relation between self-aspect congruence,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59.
[journal]
Peter, J., Valkenburg, P. M..
(2006)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Internet communication.
60.
[journal]
Prisbell, M..
(1991)
Shyness and self‐reported competence.
61.
[journal]
Rapee, R. M., Melville, L. F..
(1997)
Recall of family factors in social phobia and panic disorder: Comparison of mother and offspring reports.
62.
[book]
Resnick, P..
(2001)
Beyond bowling together: Sociotechnical capital. In J. Carroll (Ed.),
63.
[journal]
Robins, G., Boldero, J..
(2003)
Relational discrepancy theory: The implications of self-discrepancy theory for dyadic relationships and for the emergence of social structure.
64.
[journal]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65.
[book]
Schaffer, H. R..
(1996)
66.
[journal]
Schlenker, B. R., Leary, M. R..
(1982)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model.
67.
[journal]
Schlenker, B. R., Weigold, M. F..
(1992)
Interpersonal processes involving impression regulation and management.
68.
[journal]
Schouten, A. P., Valkenburg, P. M., Peter, J..
(2007)
Precursors and underlying processes of adolescents' online self-disclosure: Developing and testing an “Internet-attribute-perception” model.
69.
[journal]
Sheeks, M. S., Birchmeier, Z. P..
(2007)
Shyness, sociability, and the use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 development.
70.
[journal]
Sirgy, M. J..
(1982)
Self 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71.
[journal]
Snodgrass, S. E..
(1992)
Further effects of role versus gender on interpersonal sensitivity.
72.
[journal]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73.
[book]
Spitzberg, B. H., Cupach, W. R..
(1984)
74.
[book]
Spitzberg, B. H., Cupach, W. R..
(2002)
Interpersonal skills. In M. L. Knapp & J. A.Daly (Eds.),
75.
[journal]
Torgrud, L. J., Walker, J. R., Murray, L., Cox, B. J., Chartier, M., Kjernisted, K. D..
(2004)
Deficit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associated with generalized social phobia.
76.
[journal]
Valkenburg, P. M., Schouten, A. P., Peter, J..
(2005)
Adolescents’ identity experiments on the Internet.
77.
[journal]
Valkenburg, P. M., Peter, J..
(2007)
Online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Well‐Being: Testing the Stimulation Versus the Displacement Hypothesis.
78.
[journal]
Valkenburg, P. M., Peter, J..
(2008)
Adolescents’ identity experiments on the Internet: consequences for social competence and self-concept unity.
79.
[journal]
Valenzuela, S., Park, N., Kee, K. F..
(2009)
Is There Social Capital in a Social Network Site?: Facebook Use an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Trust, and Participation1.
80.
[journal]
Velting, O. N., Albano, A. M..
(2001)
Current trends in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social phobia in youth.
81.
[journal]
Wallace, S. T., Alden, L. E..
Social phobia and positive social events: The price of success.
82.
[journal]
Walther, J. B..
(1996)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mpersonal, interpersonal, and hyperpersonal interaction.
83.
[journal]
Walther, J. B..
(2007)
Selective self-presenta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Hyperpersonal dimensions of technology, language, and cognition.
84.
[journal]
Wang, J. L., Jackson, L. A., Zhang, D. J..
(2011)
The mediator role of self-disclosure and moderator roles of gender and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dolescents’ online communication and their real-world social relationships.
85.
[journal]
Wästlund, E., Norlander, T., Archer, T..
(2001)
Internet blues revisited: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an Internet paradox study.
86.
[journal]
Watson, D., Friend, R..
(1969)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
87.
[journal]
Weiser, E. B..
(2001)
The functions of Internet use and their soci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88.
[journal]
Wellman, B., Haase, A. Q., Witte, J., Hampton, K..
(2001)
Does the Internet increase, decrease, or supplement social capital? Social network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mmitment.
89.
[journal]
Williams, D..
(2006)
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